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생명
수명
운명
명령
비명
비문
d라이브러리
"
명
"(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좋으면 5년 이내에 중력파 최초 검출 소식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우리나라에도 약 20여
명
으로 구성된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이 있다. 2009년 9월 라이고과학협력단의 검출기에서 나온 데이터를 슈퍼컴퓨터로 분석하는 연구에 참여해왔다. 아울러 차세대 중력파 검출기에 대한 실험도 함께하고 ... ...
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나 예측은 빗나갔다. 현재 서아프리카 전체 에볼라 환자는 2만
명
을 넘지 않는다(2014년 12월 21일 기준). 일각에서는 ‘에볼라 사태’가 진정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세계적인 감염 통계학자 한스 로슬링은 이를 두고 “에볼라 바이러스와의 거친 ‘럭비’는 끝났고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안전만 잘 지킨다면 의학적으로 좋은 경험이 될 겁니다.”그는 한국인 연구자로서의 사
명
감도 느끼고 있었다. “한국에도 바이러스 분야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이 신약 개발 연구에 많이 뛰어들면 좋겠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 연구자들과 공동 연구를 ... ...
Intro. 차세대 친환경 비행기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기후에 미치는 악영향이 훨씬 커지기 때문이지요. 유럽 항공업계는 2020년까지 승객 한
명
을 수송하는 데 드는 연료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동시에, 상업용 여객기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80% 줄이겠다는 목표까지 세웠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차세대 친환경 비행기를 개발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 ...
[과학뉴스]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잉꼬와 금화조에서 다른 새보다 게놈이 빠르게 변했다는 결과도 알아냈다. 이는
명
금류(songbird)와 그 친척 종들이 빠른 속도로 종이 분화한 사실과 일치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BMC유전학저널’ 12월 11일자에 발표됐다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0“나는 앞으로 다가올 겨울 내내 인듀어런스 호의 발이 묶이고 말 것을 확신할 수 있었다. (중략) 물개들도 사라졌고 새들도 우리를 떠났다. 맑은 ... 최악의 남극 조난 상황을 견뎌 냈고 단 한
명
도 죽지 않은 채 무사히 살아남았다. 탐험은
명
백한 실패였지만, 실패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영향을 받고 살던 인간이 무중력 상태인 우주에 나가면 노화가 빠르게 일어난다고 설
명
했다. 우주에서는 체내 단백질과 칼슘이 1개월에 1% 꼴로 줄어든다. 만약 우주에서 1년을 머문다면, 뼈와 근육의 12%가 사라진다. 그만큼 늙는 것이다.“제가 운동도 규칙적으로 하고 먹기도 잘 먹었거든요.”내가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핵산을 활용하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이고 부작용도 거의 없습니다. 아비-7537은 최근 30
명
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1단계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2위★ 아비간 일본 출신의 아비간이 2위입니다. 아비간은 아데노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됐으나 동물 실험에서 효과가 뛰어나 에볼라 치료제로 준비 ... ...
[과학뉴스]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 발표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함시현 숙
명
여대 화학과 교수(아래 사진 왼쪽)와 임혜숙 이화여대 전자공학과 교수(가운데), 유향숙 한국생
명
공학연구원
명
예연구 ... 년 마련됐다. 그동안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서울대 생
명
과학부 교수) 등 총 38
명
이 수상했다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우려를 잠재웠다.“목격자들은 본대로 말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주류과학계가 괴생
명
체의 존재를 거부한다고 생각하죠(rejected by science). 하지만 저는 불평하는 대신, 과학적 증거를 통해 신비동물의 정체를 밝히는 데 도전했습니다.”반응은 폭발적이었다. 빅풋 신봉자들이 물심양면으로 협조했다.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