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TV의 안방 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우리나라에서 2001년부터 시작되는 디지털TV는 연속극이나 쇼프로를 시청하는 기존의
기능
은 물론, 지금까지와는 비교도 안 되는 선명한 화질로 영화를 감상하고, 컴퓨터 대신TV로 증권거래를 하며, 축구경기를 보면서 선수의 신상명세를 프린터로 뽑아보는 일이 가능하다고 한다. 디지털TV가 대체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다른 사람이 컴퓨터를 볼 수 없게 만든다. 때문에 대부분의 스크린세이버는 암호
기능
을 갖고 있다. 암호를 모르면 컴퓨터 작업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내 컴퓨터에 손대지 마세요’(Don’t Touch)라는 재미있는 이름을 가진 이 스크린세이버를 실행하면 만화 주인공이 나와서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적응돼 있다. 따라서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관장을 하거나 장세척을 하면, 장
기능
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져 만성적인 소화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상의 위험은 차치하더라도 관장이나 장세척이 복부 비만을 치료하는 데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5. 주의! 굶어도 ... ...
① 보다 맛있고 영양가 높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밀어넣고 실험의 성공을 바랄 뿐이다.설사 무사히 삽입됐다 해도 그 유전자가 제대로
기능
을 발휘하는지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 1996년 뉴질랜드에서는 양에게 털이 잘 자라게 하는 성분(IGF I) 유전자를 주입한 결과 보통의 양에 비해 17% 정도 털이 많이 자란 점을 확인했다. 그러나 1998년 한번 털을 ... ...
③ 동물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크기가 비슷해도 기어다니는 돼지의 심장과 상체를 세우고 다니는 사람의 심장이 비슷한
기능
을 발휘할지는 의문이다. 또 돼지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지만 사람에게 치명적인 병균이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지난 8월19일 영국 BBC방송은 돼지의 장기를 이식해도 치명적인 바이러스(Perv)에 ... ...
⑤ 복제기술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하는 단백질 (혈청알부민) 유전자를 지니고, 인간에게 면역반응을 일으킬만한 유전자의
기능
이 정지된 양이다.연구팀이 사용한 세포는 태아로부터 얻은 섬유아세포이기 때문에 아직 완전한 성체의 체세포 수준에서 실험이 성공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또 양이 성체로 자랐을 때 젖에서 과연 원하는 ... ...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밝혀 세계 과학계가 떠들썩했다. 일반적으로 햄스터는 노화로 인해 생체시계의
기능
이 떨어지면 3개월 이내에 죽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노화된 햄스터의 뇌에 젊은 햄스터의 생체시계 부위를 이식한 결과 예상보다 평균 4개월 정도 더 살게 된 것이다.불로장생의 평범한 비결물론 사람에게 이런 ... ...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장점만 살린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때문이다.신개념 앰프는 마스터 앰프와 슬레이브 앰프, 즉 두개의 앰프가 한 개의 앰프로
기능
하도록 설계됐다. 이 앰프는 주파수 대역이 넓고 고음을 깨끗한 원음으로 재생해 기존의 어떤 앰프도 감당할 수 없었던 새로운 세계를 열었다. 클래식 마니아들이 즐길 수 있는 완벽한 음을 재현해 낼 수 ... ...
1. 인간은 색을 어떻게 구별하나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이라 부른다. 3종류의 원추세포가 모두 존재하지만 그 중 하나나 두 종류의 세포가
기능
적으로 부실하거나, 어느 하나가 현저히 적어서 빛이 약할 때나 먼 곳을 바라볼 때 색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것을 색약이라고 부른다. 색맹이나 색약은 모두 유전하는데 이 유전자는 성염색체인 X염색체가 가지고 ... ...
2. 현대인은 왜 SF에 매달리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로 나타나기도 한다. 인류는 크게는 자연과 문화와의 관계에서 작게는 자기 집의 헛간 속에 이르기까지 눈길이 닿지 않거나 알 수 없는 모든 영역에 이런 허구적 형상물들을 ...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들의 반복은 현대판 민담으로서의 SF가 과학문화에서 맡는 중요한
기능
이다 ... ...
이전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