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허준이 박사는 50년 동안 풀리지 않던 ‘로타 추측’을 수학의 전혀 다른 분야를 이용해 증명한 공로로 상을 받았어요. 로타 추측은 모든 그래프의 특성 방정식이 특정 부등식을 만족한다는 조합론 분야의 정리인데, 허 박사는 대수기하학의 도구로 문제를 해결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허 박사가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빨리 완성하는 신기록에 도전한 이유가 무엇인가요?레고 강의의 목적은 레고 블록을 이용해 훌륭한 수학 이론과 인생을 가르치는 거예요. 이왕이면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조직 경영’을 경험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에 신기록 도전이라는 과제를 내줬지요. 경영을 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질문에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케이시 만 교수와 제니퍼 맥루드 교수, 대학생이던 데이비드 폰 데라우가 컴퓨터를 이용해 15번째 무늬를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최근까지도 15가지 방법이 전부인지를 알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2017년 7월, 프랑스 국립연구소의 미카엘 라오 박사가 볼록오각형을 테셀레이션하는 방법은 오직 1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학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공간도 운영할 예정이기 때문에 학생뿐만 아니라 누구라도 이용할 수 있다. 경남수학문화관 건립을 이끈 정인수 경상남도교육청 창의인재과 수학 담당 장학사는 “수학문화가 대중화되면 쉽게 바뀌기 힘든 시험 위주의 학교 교육도 바뀔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수학도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반드시 두 상자 고리 중 한쪽에 선분을 그려야 해요. 이제 레드는 블루가 그려준 선분을 이용해 잽싸게 상자를 연달아 완성할 거예요. 그런데 게임에서 이기려면 레드는 상자 고리에 있는 모든 상자를 완성하면 안돼요. 모든 상자를 완성하면 선분을 하나 더 그려야 한다는 규칙 때문에 남은 상자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식물재배장치(APH)를 실험하고 있어요. APH는 빨강, 파랑, 초록색, 흰색 LED와 적외선 빛을 이용해요. 게다가 기존 식물재배장치보다 4배 정도 강한 빛으로 식물이 더욱 빠르게 자라도록 하지요.또한 APH는 자동화된 식물재배장치로, 180개 이상의 센서를 갖고 있어 식물이 필요할 때 자동으로 물을 주거나 ...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들고 있어요. 씨가 작은 수박이 씨가 큰 수박에 비해 우성 ●형질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는 거예요.●형질 : 생물체가 가지는 모양이나 성질을 일컫는 말.수박은 같은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정보를 늘 한 쌍씩 가지는데, 이때 한 쌍에 속한 두 개의 유전정보가 서로 다를 수도 있어요. 그 중 수박의 ... ...
- [과학뉴스] 햇빛 받아 이산화탄소로 연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직접 저장하는 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태양전지에서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해 생성하는 전기량보다, 이산화탄소가 태양광에너지로 메탄을 생산하는 양이 훨씬 많다. doi:10.1038/s41467-017-01165- ... ...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방사광가속기 ‘ALS(Advanced Light Source)’를 이용해 이빨의 구조를 X선으로 분석했다. 치아의 기저부에는 지름이 평균 5μm인 섬유가, 끝부분에는 지름이 평균 2μm인 섬유가 있었다. 이 미세한 섬유들은 천이나 체인처럼 복잡하게 꼬여 있었다. 연구팀은 이런 ... ...
- [과학뉴스] “목 말라요” 식물 대신 말해주는 센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알아보는 센서를 만들었다. 연구를 이끈 마이클 스트라노 MIT 화학과 교수는 “이 센서를 이용하면 실내 화분뿐 아니라 너른 평야에서도 농작물에게 물이 적당히 공급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랩온어칩(Lab on a chip)’ 11월 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 ... ...
이전3523533543553563573583593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