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1,526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03
쓸 수 있다. 원리는 같다. 레이저가 물체에 반사돼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이용
해 거리를 계산하는 것이다. 박 교수는 “3D 디스플레이 및 가상 마케팅 같은 새로운 시장이 생길 전망이라 원천 기술을 빨리 확보해야 한다”며 “앞으로 산업용 중장거리 라이다와 고속 3D 카메라를 연구할 ... ...
세계는 지금 ‘친환경 나노’가 대세
과학동아
l
201103
위해서였다.나노와 물 기술을 결합한 세부 전시회인 ‘인터아쿠아’에서는 나노 기술을
이용
해 수질 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이 등장해 관심을 끌었다. 은나노 등 일부 물질은 2009년부터 수질오염의 원인물질로 꼽혀 왔다. 그러나 전시회를 통해 소개된 다양한 나노기술은 수질정화 및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03
세포를 바이오리액터에 넣고 키우면 근육줄기세포가 분화해 근육이 된다. [줄기세포를
이용
해 고기를 만드는 연구를 진행 중인 블라디미르 미로노프 교수.][앞으로 우리는 훨씬 더 다양한 단백질 공급원을 갖추게 될 것이다.] [세포를 배양해 고기를 만들면 좁은 공간에 가둬 놓고 소를 사육할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03
근면함을 통해 만들어낸 복잡함을 통해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우월함을 드러낸다. 이를
이용
하면 물질, 에너지, 시간, 위험을 지나치게 낭비하는 부담을 피할 수 있다. [➊ SBS TV 드라마 ‘시크릿가든’의 현빈(김주원 역)이 이태리 장인이 한땀한땀 뜬 트레이닝복을 입는 것은 ‘과시적 ... ...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03
하얀 판이 뒤섞여 있는데 이 중 검은 판만 인식해 180°를 돌려야 했다. 로봇은 광센서를
이용
해 검은 판과 하얀 판을 구분한다. 하지만 주변의 빛의 세기에 따라 오차가 생겼다. 플라스틱 재질의 검은 판이 빛이 비치는 각도에 따라 똑같이 반사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를 조정하려면 센서의 ... ...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03
붙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고 교수는 초박막 반도체를 ‘디지털카메라’에도
이용
했다. 디지털카메라의 렌즈는 곡면이지만 이미지센서는 평면이라 사진 귀퉁이의 초점이 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현상을 없애기 위해 현재 여러 개의 렌즈를 겹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렌즈를 겹쳐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03
행동 전략들이 다양하지만 호랑나비과의 애벌레는 앞서 설명한 여러 방어 전략을 두루
이용
한다. 특히 령에서 다음 령으로 갈 때 외관상 변화가 뚜렷하고 각 령별로 방어 전략도 다르다. 알에서 부화한 후부터 네번째 령까지 이 애벌레는 새의 배설물을 모방한다. 그러다가 마지막 허물을 벗은 ... ...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03
심박조율기는 전지를 교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술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MEMS 기술을
이용
해 심박조율기를 만들면 전지 교체 없이 영구히 사용할 수 있어요. 머지않아 실용화할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이와 함께 MEMS를 감싸는 패키징 방법도 개발 중이다. MEMS 기술로 만든 센서는 작은 크기의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03
게놈 프로젝트에서처럼 한국인의 게놈을 직접 비교하는 방법이다. 언젠가는 이 방법을
이용
해 직접 한국인 안에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날도 올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Part3.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03
5초마다 기록하는 가속계와 건물 내 사람의 위치와 움직이는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
해 실제로 사람들이 얼마나 움직이는지 2주 동안 관찰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움직인 경로를 건물 설계도 위에 그린 결과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와 적게 모이는 장소를 구별할 수 있었다. 사람을 많이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