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Erasable Memory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지우도록 디자인하는 ‘PKM제타 삭제’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PLoS
생물
학’ 잡지의 최근 호에 상세히 실렸는데, 논문 제목은 ‘공간과 도구, 조건화된 장기기억을 유지시키는 PKM제타’이다. 이 논문은 펜튼 박사와 작토르 박사를 포함해 뉴욕주립대 남부 의료센터에 있는 많은 ... ...
공룡 최초의 깃털은 과시용?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보온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과시용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과학원 척추고
생물
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 징 수이 연구팀은 두 발로 걷는 수각류 공룡인 베이피아오사우루스의 화석 중 진화 초기형태의 깃털 화석을 발견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중국 ... ...
[생리학]돈을 부르는 약손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약손가락(약지)이 집게손가락(검지)보다 긴 남성이 금융가에서 돈을 더 잘 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존 코트 교수 ... 때는 합리적인 사람들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린다는 경제학의 전제에서 출발했지만, 이제
생물
학 용어로 금융시장을 설명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있다고 하더라도 이로부터 그 생명체를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DNA 이중나선이
생물
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게 불과 56년 전인 1953년입니다.10여 년 전만 해도 30억 쌍이나 되는 사람의 게놈을 몇 달 만에 밝힐 수 있게 되리라고는 기대하지 못했죠. 매머드 게놈 서열을 ... ...
[고고학]책 나이도 DNA 검사로 OK~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그의 형인 마이클 스틴슨 교수.그는 미국 사우스사이드 버지니아 커뮤니티 칼리지
생물
학과 교수다.스틴슨 교수는 “필사본은 손으로 쓴데다 쓴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그 지역 방언이 포함되기도 해 지금까지 정확한 연도를 결정하기 어려웠다”며 “양피지의 DNA를 검사해 이미 알려진 필사본과 ... ...
[해양학]바다의 건강을 책임지는 어류 배설물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무기물을 배설해 해양 산성도를 균형 있게 유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경골어는 해양
생물
수의 90%를 차지한다.지금까지 과학자들은 해양 플랑크톤이 생산하는 탄산칼슘이 해양 산성도를 조절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해양 플랑크톤의 개체 수에 비해 탄산칼슘이 더 많이 생산되는 이유는 밝히지 ... ...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오병하 교수가 그를 찾아왔다. 오 교수는 X선 회절을 이용해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는 구조
생물
학자인데 당시 콘덴신이라는 복잡한 단백질의 구조를 연구하고 있었다. 세포가 분열할 때 DNA를 뭉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콘덴신은 MukB, MukE, MukF라는 3가지 단백질이 서로 연결된 복합체다. 오 교수팀은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석사1994년미국 미시간주립대 약학 및 독성학과 박사1995~1997년미국 하버드의대 신경
생물
학과,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1997~2000년부산대 약학과 교수2000년~현재KAIST 생명과학과 교수2003년~현재 창의적연구진흥사업 시냅스 생성 연구단 ... ...
다시 보는 현대판 비글호 항해기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비글호 항해를 따라가기 위한 1년여의 대장정에 돌입했다. 해수성분뿐 아니라 연안
생물
, 연안 지질, 광물 자원을 조사하며 다윈의 업적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기 위해 장보고호를 타고 미국 아나폴리스를 출발한 것. 다윈전에서는 권 박사의 장보고호 항해 동영상을 보며 권 박사에게 응원 ... ...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이듬해 서울대로 옮긴 이 교수는 최근 관심 분야가 넓어졌다. 그의 연구실 책장엔
생물
관련 서적들이 잔뜩 꽂혀있다. “앞으로는 반도체 기술과 생명공학이 융합될 겁니다. 물리학을 통해 생체 모방 시스템을 구현하고 생체현상을 예측하는 셈이죠.”실제로 2006년 3월 이 교수는 세포에 인위적으로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