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205건 검색되었습니다.
은나노 와이어로 분자 단위 유해물질 잡아낸다
2015.08.19
쉽고 제작비도 훨씬 저렴하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판을 시중에 나온 휴대용 광학 분석
장치
에 적용해 성능을 실험한 결과 유해물질의 농도가 ppb(10억 분의 1) 수준까지 확인됐다. 김 박사는 “기존 기판과 비슷한 성능의 기판을 값싸고 안정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 것”이라며 “실제 검출기를 ... ...
고백에 성공하려면, 일단 배불리 먹이세요
2015.08.17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8시간 동안 금식시킨 후 다양한 사진을 보여주며 자기공명영상(MRI)
장치
로 이들의 뇌 반응을 살폈다. 연구팀이 참가자들에게 제시한 사진은 손을 잡고 있는 연인과 같은 로맨틱한 사진이나, 볼링 공과 같은 중립적인 사진이었다. 그 결과 금식 상태에서는 로맨틱한 사진이나 ... ...
드론 보고 놀란 곰 가슴, 200분 동안 벌렁벌렁
2015.08.14
14일 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미네소타 주 서북쪽에 사는 미국흑곰 4마리에게 위치추적
장치
와 심장박동수 감지 센서를 붙인 뒤 곰이 생활하는 장소 인근에 무인정찰기를 띄워 곰의 반응을 살폈다. 곰의 심장박동수는 2분 주기로 연구자에게 e메일을 통해 전달되도록 했다. 그 결과 곰은 20m 상공에 뜬 ... ...
니코틴 중독 만드는 건 ‘마이크로RNA’
2015.08.12
니코틴에 중독된 동물모델을 만들었다. 버튼을 누르면 정맥으로 니코틴이 들어오는
장치
를 이용해 일정기간 동안 생쥐를 니코틴에 중독시킨 것이다. 중독된 생쥐는 스스로 버튼을 눌러 니코틴을 맞기 시작했다. 보통 생쥐의 경우 니코틴을 맞고 발작과 구토 등의 증상을 겪으면 다시는 맞으려 ... ...
24시간 전기 만드는 ‘염분차 발전’ 기술 확보했다
2015.08.11
종일 전기를 만들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용량에너지저장
장치
(ESS) 기술을 추가로 연구 중이지만 효율이 떨어져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염분차발전은 바닷물에 들어 있는 염화나트륨(소금) 등의 물질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해 전압을 발생시키거나 ... ...
얼음이 만들어지는 시간 = 백만분의 1초!
2015.08.10
알려져 있었지만 그 과정을 명확히 규명한 것은 연구팀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연산
장치
(CPU)’ 2100만 개를 합쳐 놓은 고성능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4096개 가상 물 분자가 얼음이 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물분자들이 임계핵을 형성하는 시간이 백만분의 1초에 불과하고, 최초로 핵을 ... ...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고선명 TV의 전기요금을 10분의 1로 낮출 수 있는 차세대 액정
장치
를 개발했다. 송장근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사진)팀은 마이크로미터(μm=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 액체방울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 기술을 TV나 컴퓨터 모니터 같은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다른 공간의 두 사람이 쌓여 있는 블록을 밀어 떨어뜨리는 젠가 게임을 하고 있다. 기존
장치
에 비해 넓은 공간에서 정밀하게 동작을 인식한다. - KIST 제공 ... ...
주인 얼굴 보고 꼬리치는 개, 반가워서? 배고파서?
2015.08.04
활성화된다고 밝혀진 동물은 개가 처음이다. 연구팀은 개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
안에서 진정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있을 수 있도록 훈련시켰다. 그런 다음 fMRI 안에 있는 개에게 인간, 개 그리고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물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여주면서 뇌의 반응을 촬영했다. ... ...
메르스 진단 기술 PCR, 초소형 기기로 5분 안에 끝낸다
2015.08.02
연구원 등 한인 과학자가 포함된 미국 UC버클리 연구진은 ‘LED(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
를 이용해 빠른 시간 안에 PCR을 하는 기술을 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 31일자에 발표했다. 메르스를 확진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객담 등 샘플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의 특정 유전자가 있는지 실제로 있는지를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