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반
뉴스
"
높은사람
"(으)로 총 3,93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줄기세포로 만든 0.5mm 심장이 뛰기 시작했다
2015.07.15
미국 연구팀이 만든 0.5mm크기의 ‘미니 심장’. 스스로 박동하는 게 특징이다.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미국 연구팀이 줄기세포를 이용해 스스로 박동하는 ‘미니 심장’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케빈 힐리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UC버클리) 교수팀과 브루스 콘클린 미국 글래드스톤연구소 ... ...
5세대 통신기술에 필요하다는 ‘밀리미터파’의 모든 것
2015.07.12
5G 통신 주파수로 불리는 밀리미터파 대역을 나타낸 그래프. 과거에는 위성통신 영역에서 쓰였다. - 동아사이언스 DB 4세대(4G) 이동통신으로 불리는 ‘LTE-A’가 상용화되자 정보통신 분야 기업과 연구기관들은 이제 5세대(5G) 시장 개척에 사활을 걸고 있다. 국내 IT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 ... ...
확 풀어 준다!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
수학동아
l
2015.07.03
가만히 서있기만 해도 땀이 비오듯 쏟아집니다. ‘벌컥! 벌컥!’ 얼음물로 더운 속을 달래 보지만 영 시원치 않네요. 아! 평양냉면 한 그릇이 절실합니다. 시원한 육수와 함께 구수한 면발을 넘기다 보면, 온 몸에 딱 달라붙어 있던 더위와도 어느새 이별이죠. 수학공식 중에도 ‘확 풀어 주는’ 선수 ... ...
탄저균만큼 위험한 야토균 손쉽게 검출
2015.07.02
국내 연구진이 생화학무기에 사용되는 병원체인 야토균을 손쉽게 검출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방식보다 간단해 보건 및 국방 분야 대응 능력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최종훈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 교수(사진)팀은 대장균이 분비한 단백질을 이용해 낮은 농도에서도 야토 ... ...
사흘째 추가 확진자 없어… 진정세 뚜렷
동아일보
l
2015.07.01
[동아일보] 사망 1명 늘어… ‘평택성모’ 6일 재개원 메르스 상담자 41% 우울증-불면 호소 메르스 추가 확진자가 사흘째 ‘0명’이다. 추가 환자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조만간 메르스 종식을 선언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강동성심병원 등 확진자의 노출 기간이 길고 접촉자가 많은 병원들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지잉~, 지잉~.’ 영화 속에서나 듣던 요란한 모터소리가 관객석까지 들려왔다. 머리에 붙은 레이저 스캐너로 계단의 높이와 경사도를 가늠하던 로봇 ‘휴보(HUBO)’는 결심이나 한 듯 계단을 하나씩 밟고 오르기 시작했다. 관객들은 ‘Amazing(놀랍다)’이란 감탄사를 연발했다. 마침내 계단 정상까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 태초의 모습은 수십억 년 동안 이어진 침식과 판의 운동에 의해 지표면 에서 사라졌다. 하지만 몇 군데는 아직 그 때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서호주가 바로 그런 곳이다. 이곳에서 오래 전 지구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은 세계에 몇 안 남은 초기 지구의 대륙지괴가 이곳에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상처는 아물지 않았다. 작년 4월 16일 물속으로 가라앉은 세월호가 물 밖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낸다. 해양수산부 세월호 선체처리 기술검토TF(아래 세월호 TF)는 세월호를 인양하기로 결정했다고 올해 4월 16일 발표했다. 6월 23일까지 인양에 참여할 업체들로부터 기술제안서를 받은 뒤 심사를 거쳐 7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
과학동아
l
2015.06.29
“제가 식샤 자리에서 메이쟈리그 코치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에요. 박뱅오 같은 궁내 슨슈의 파워가 일본보다 낫고, 정교한 일본 타자들의 뱃컨츄롤은 메이쟈리그보다 뛰어납니다. 갤국 이런 핸상은 돔구장을 지으면 우리 야구가 더 발전할 수 이쓰요.” _돔구장을 사랑하는 모 해설가 지구에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여섯 번째 염기인 히드록시메틸시토신(5hmC)에 이어 일곱 번째인 포르밀시토신(5fC)과 여덟 번째인 카르복실시토신(5caC)의 발견은, 우리가 지금까지 게놈의 역동적인 측면을 얼마나 과소평가했는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크리스토퍼 나벨 & 라울 콜리 예전에 정보과학을 다룬 책을 읽다가 흥미로운 ... ...
이전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