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0,35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체 핵자기 공명 분광기로 연료전지 효율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910
있는 시료의 경우에도 원자의 종류와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한 박사팀은
세계
최초로 고체 핵자기 공명 분광기로 실제 작동하는 메탄올 연료전지를 직접 관찰했다. 그는 메탄올 연료전지에서 효율이 떨어지는 원인을 고체 핵자기 공명 분광기로 직접 확인하는 기술을 개발했고 2007년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10
밝혔다. 논문을 내기 위해 억지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도 모르는 미지의
세계
를 개척한다는 생각으로 하나하나 알아가다 보면 최고 전문가의 위치에 오를 수 있다는 뜻이다. 뉴클레오티드 22개 정도로 구성된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세포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마이크로RNA와 작고 ... ...
War between GOOGLE vs. MS
과학동아
l
200910
경험 많은 엔지니어들을 고용하면서 그들에게 충분한 보상을 지원하고, 그들에게 이
세계
최대의 데이터수집 프로젝트에서 하고 싶은 대로 하도록 내버려둔다. 지난 9월, 구글은 카페인이라 불리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더 빠르고, 더 정확하고, 더 포괄적인 검색엔진이 되기 위해 내부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10
관광지이자 모두 산호초로 이뤄진 섬이다. 이 가운데 몰디브와 그레이트배리어리프는 신
세계
7대 자연경관의 최종 후보에도 올랐다. 산호초 섬 주변의 바다 색은 한국에서 볼 수 있는 바다와 많이 다르다.한국의 바다는 파랑이나 군청 같이 짙은 색으로 보이지만 산호초 섬을 둘러싼 바다는 옅은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10
없다는 점이다. 인터넷이 편리함을 준 반면, 보안 위협도 안긴 셈이다. 실제로 2004년
세계
적인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는 “전력 인프라의 핵심부에 인터넷을 연결하는 건 해커들을 불러들이는 강한 요인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가장 우려되는 점은 기술적 허점이 아니라 사람에 의한 보안 사고다.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10
어렵다. 과학저널 ‘네이처’ 8월 13일자는 크기가 같은 정사면체를 가장 빽빽하게 쌓은
세계
신기록을 표지 논문으로 다뤘다.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살바토레 토르콰토 교수와 기계공학과 대학원생인 양 지아오가 역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방법을 찾아냈다.한상근 교수는 미국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10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재료를 개발해야한다는 숙제도 남아있다.하지만 이들 엔진은
세계
선진국들이 주목하고 있는 차세대 추진기관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기술경쟁 구도에 따라 곧 가시적인 발전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현재 정 교수의 연구실은 스크램제트 엔진의 축소모형을 ... ...
혈액형 진실게임
과학동아
l
200910
40%, B형은 10%, AB형은 5% 정도로 분포한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A형이 상대적으로 많지만
세계
적으로 보면 O형이 가장 많은 혈액형이다.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크게 세포성분인 혈구부분과 액체성분인 혈장으로 나뉜다. 이때 혈장에서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 ...
겨레의 과학을 찾아서! 수원화성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0
도 ‘동서양의 군사건축 과학이 잘 어울려 만들어진 뛰어난 성곽’이라며 1997년
세계
문화유산으로 인정했을 정도야.화성은?215년 전인 1794년 짓기 시작해 2년 9개월 뒤인 1796년에 완성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성곽 건축물로 지금의 경기도 수원에 있다. 산에 짓는 산성과 달리 평지에 있는 도시를 ... ...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
수학동아
l
200910
있어요. 이 때 수학이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특히 위성 영상 융합 분야에서 최 박사는
세계
적인 전문가다. 영상 융합은 여러 가지 영상에서 장점만 뽑아 새로운 영상을 만들어 내는 분야다. 최 박사는 이미 KAIST(카이스트) 박사과정 때 혼자서 영상 융합에 관한 논문을 써 특허도 받고 마르퀴스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