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6,43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사진 색깔 실제와 달라
과학동아
l
200403
촬영할 때 이들 컬러판을 함께 찍도록 했다. 컬러판의 진짜 색은 이미 알고 있다. 따라서
지구
에 전송된 화성 컬러사진에서 컬러판의 색을 원래대로 보정하면 화성의 컬러사진은 실제 색에 가까워질 수 있다.문제가 된 일부 화성 컬러사진은 NASA 과학자들이 제대로 색을 보정하지 않고 공개한 것이다.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03
문자로 자음과 모음의 분간이 있는 글자다 한글, 로마자 등이 음소문자에 속한다현재
지구
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자연과정의 원인들이 동일한 방식과 강도로 과거의 모든 지질학적 과정들에도 똑같이 작용했다고 보는 견해로서, 19세기 스코틀랜드 지질학자 라이엘의 '지질학 원리'에서 본격적으로 ... ...
50광년 밖 다이아몬드 별 발견
과학동아
l
200403
지구
의 8분의 1 크기인 이 별의 핵은 다이아몬드 단위로 환산하면 ${10}^{34}$ 캐럿 이상이다.
지구
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다이아몬드는 5백30캐럿의‘아프리카의 별’로 다이아몬드 별과는 크기가 비교도 안 된다. 이 별을 발견한 천체물리학센터의 트래비스 메트캘페는 “다이아몬드 별을 감정하려면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03
위치하므로 밤새 관측할 수 있다
지구
에서 보았을 때 태양과 행성이 이루는 각을 말하며
지구
에서 보아 행성이 태양의 동 서 어느 쪽에 있는지에 따라 동방이각 또는 서방이각이라 한다 위치상 내행성은, 이각이 어느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없으며 이때 한계가 되는 각을 최대각이라 한다 수성의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03
임무를 띤다. 직경 1m급 망원경은 단지 몇개만이 운영되고 있으며 소행성이나 혜성같은
지구
접근천체를 탐색 관측하는 특수 목적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 또 기존에 사용됐으나 대형망원경의 도입으로 활용도가 낮아진 1m급 망원경에 자동제어장치를 탑재해 전방위 관측연구나 일반 교육에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
과학동아
l
200403
곤충은 약 1백만 종에 이르며, 이것은
지구
전체 동물종의 5분의 4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지구
의 진정한 주인은 곤충이 아닐까? 동아사이언스 생생탐사팀은 지난 1월에 열대 곤충을 만날 수 있는 말레이시아 타만네가라의 정글로 뛰어들었다. 1억3천만년이라는 시간이 만들어놓은 열대우림과 그 속에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02
차이가 있다.멜롯 박사는 지난 1월 7일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미국천문학회 회의에서 “
지구
에 위협적인 감마선폭발은 수억년에 한번꼴로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며 “당장 내일 이런 일이 일어날지도 모를 일”이라고 말했다.이런 주장에 대해 미국 버클리대 고생물학자 제레 립스 교수는 ... ...
촛불이 돌리는 미니 회전목마
과학동아
l
200402
미니 회전목마를 만들어줄테니.모험이와 슬기는 외계인에게 끌려가지 않고 무사히
지구
에 남을 수 있을까.촛불 위의 종이 회전목마는 왜 회전할까?양초에 불을 붙이면 촛불이 연소하면서 이산화탄소, 수증기와 함께 열이 발생한다. 열은 촛불 주변의 공기를 데운다. 따라서 뜨거워진 공기가 불꽃 ... ...
우주탐사선 혜성 물질 낚아챘다
과학동아
l
200402
상태를 간직하고 있다”며 “이를 연구하면
지구
와 같은 행성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지구
에 생명체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한 단서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보통 혜성은 태양계 외곽에서 출발해 태양을 여러번 돌면서 자신의 물질을 태우거나 우주공간에 뿌린다. 빌트2 혜성은 비교적 ... ...
동식물 1백만종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402
다른 생물종은 자신이 살 수 있는 서식처가 남아 있어도 이주를 하지 못해 멸종한다.현재
지구
가 오염된 상황을 고려하면 생물종의 대규모 멸종은 어떤 노력을 기울여도 완전히 피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나 토마스 교수는 “온실가스 발생을 줄이고 이산화탄소를 격리해 처리하는 방법을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