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의 사장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경간 3백19m의
기록
을 세웠으나, 이듬해인 1970년 두이스버그-듀엔캄프교(3백50m)에 의해 그
기록
이 갱신됐다. 다시 1975년에 프랑스의 성 나자이르교(4백4m)가 건설됐다. 이처럼 사장교의 장대화 추세가 나타나면서 많은 다리에서 바람에 대한 검토와 실험이 시작됐다.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에서는 ... ...
2. 모솔왕의 대형무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사진기를 처음 발명한 것을 생각하면 대단한 안목이라 할 수 있다. 그가 발굴현장을
기록
에 남기기 위해 사진기를 동원했다는 것은 유물 발굴사에서 혁명적인 것으로 그 후 많은 유물 발굴현장에 영향을 끼쳤다.한편 발굴장소 북쪽에서 대리석판이 덮여 있는 것이 발견됐다. 중세시대에 석회가 되는 ... ...
초고속망 시대에 걸맞는 컴퓨터 보안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넣어 해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자신이 입력한 개인정보가 쿠키파일에
기록
된다. 그래서 다음번에 접속할 때 이 쿠키파일을 이용해서 간편하게 들어갈 수 있다.사이트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쿠키’라는 파일을 활용한다. 이것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때 번거롭게 ... ...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어떻게 다스리실 것인가를 지시하는 것은 우리들의 과제가 될 수 없다”라고 응답했다고
기록
하고 있다.번역자 김용준 교수가 책의 후기에서 밝히는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같은 동맹국 출신으로서 미국으로 탈출한 이탈리아 물리학자 페르미와 독일에 남기로 결심한 하이젠베르크 사이의 대화였다.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기존 비행체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고, 현재의 물리법칙을 위반하는 것 같다”고
기록
돼 있습니다.칼 나는 아직도 UFO 현상이 현재 수준으로 완벽히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합니다. 그렇다고 UFO가 외계인이 타고온 최첨단 우주선이라는 식의 주장을 수용할 수는 없어요. 아마 우리가 지구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단위에서 화학결합의 원리에 따라 재배열을 거치면서 에너지 대사를 하고, 유전 정보를
기록
도 하고 복제도 하며 심지어는 고차적인 정신 활동까지 한다. 이러한 세포 활동이 가능하도록 세포 내부의 물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세포막의 기능은 생명 현상의 기본인 항상성 유지의 중심에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맨눈에는 간신히 보일 정도로 어두웠을 뿐 아니라 움직임도 매우 적었기 때문에 별로
기록
했다. 하지만 허셜 남매의 끈질긴 추적으로 움직임이 발견됐던 것이다. 허셜은 그해 천왕성을 발견한 것 이외에도 2백69쌍의 이중성을 발견했다. 그리고는 태양계가 아닌 별 사이에서도 중력이 작용하고 있을 ... ...
디지털 시대의 메모방식 보이스 레코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하다.특히 번개처럼 스쳐가는 소중한 아이디어를 제때
기록
하지 못해 지금도 가슴 한구석에 아쉬움과 안타까움의 앙금이 남아있는 사람이라면 더욱더 메모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왕 메모를 습관으로 만들 바에는 좀더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 ...
1백10억년 전 폭발한 천체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로 관측됐는데 이것은 1백10억광년이라는 이 천체의 거리를 나타낸다고 한다. 이전까지의
기록
은 90광년이 채 안되는 거리였다.이번 거대한 폭발에서 나온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 전에 1백10억년을 날아왔다는 사실에 대해 미국 버클리주재 캘리포니아대 우주과학연구소의 물리학자 켈빈 헐리 박사는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막대자석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1백M(${10}^{6}$)byte가 사용되고 있고, 기술적으로 1G(${10}^{9}$)byte가 한계다. 자성을 이용해
기록
하는 매체의 용량은 제한된 공간에 넣을 수 있는 자성체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현 교수가 개발한 자기나노기술는 자기메모리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론상 현 교수가 개발한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