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효험
효능
결과
효력
작용
가치
d라이브러리
"
효과
"(으)로 총 6,539건 검색되었습니다.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없애는 식이다.이처럼 초고층 건물의 평면을 줄여 바람을 완화시키는 것을 ‘테이퍼링
효과
’(Tapering Effect)라고 하는데 건물이 바람의 직각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줄여준다. 말레이시아 쌍둥이타워, 두바이빌딩 모두 이런 원리가 적용됐다.한국의 타워팰리스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 초고층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 방법이 실용화된다면 기존의 진단용 칩을 대체하는 기술로 경제적으로도 큰 파급
효과
가 있을 전망이다.현재 유기광전자재료연구실에는 박사과정 7명, 석사과정 4명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정 교수는 “우리 학생들은 분자를 설계해 합성하는 연구부터 나노구조물을 만들어 조작하는 연구,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바꿔주면 대칭성이 유지될 것이라는 내용이다. C대칭성 깨짐의
효과
와 P대칭성 깨짐의
효과
가 서로 상쇄되기 때문이다. (-1)×(-1)=1이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결국 CP대칭성은 왼손잡이 물질과 오른손잡이 반물질에 적용되는 물리 법칙은 동일하다는 것이다.이런 그럴듯한 이론을 내놓고 만족해하던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더 잘 떨린다는 것. 연구팀은 종이가 떨리는 원인이 전기를 진동으로 바꿔주는 압전
효과
와 종이 내부의 결정과 비결정부분을 옮겨 다니는 전하 움직임이 힘으로 바뀌는 이온전이현상 때문이라는 것도 함께 규명했다.이런 특성을 갖는 종이 위에 얇은 안테나와 고주파 신호를 전기로 바꿔주는 회로만 ... ...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몸 밖에서 주입하면 뇌로 곧바로 들어가지 못한다. 두개골에 구멍을 내 직접 투여해야
효과
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뇌로 바로 전달되는 작은 분자량의 또다른 신경성장인자도 찾고 있다.최근 미국 국립약물중독연구소(NIDA)는 약물 중독 치료 원칙을 발표했다. 자의든 타의든 중독자를 병원에 ... ...
노화원인 '활성산소'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국내 연구진이 뇌졸중이나 암의 원인인 ‘활성산소’의 기능을 알아내 난치병 치료용 신약 개발의 길을 열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단백질체 시 ... “뇌졸중, 암 등 활성산소 관련 난치병을 치료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을 발굴함으로써
효과
적인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요법에 사용되는 약제로서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을 선택적으로 증강시켜 방사선 치료
효과
를 높이는 약물 제품으로는 브록크스울리신의 주사제가 있다이 약은 DNA의 구성성분인 티미딘(thymidine)과 화학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세포증식 과정에서 DNA 안에 티미딘 대신 넣는데, 이것은 세포의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분석해보면 유산균이 죽어있는 경우가 많다. 유산균이 살아있는 상태로 장까지 도달해야
효과
적인 정장작용을 할 수 있는데 말이다.우리나라 사람에게 맞는 살아있는 비피더스균을 우리 기술로 개발해야 좀더 안전하고 몸에 좋은 유산균 제품을 만들 수 있다.로타바이러스6-24개월 된 영아와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재구성해 남성적 또는 여성적 뇌를 만든다. 성호르몬의 이 같은
효과
를 ‘구조형성
효과
’(organizational effect)라고 한다. 이는 한번 일어나면 다시 원상복귀 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이런 일이 있었다. 태어나자마자 사고로 음경을 잃은 아들을 위해 그의 부모는 성전환수술을 해주고 여성호르몬을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수리하려고 하는 것과 같다”는 독일 ‘슈피겔’ 지의 묘사처럼 기존의 약물치료는
효과
에 비해 부작용이 너무 크다. 분자차원, 즉 나노수준에서 약물을 조종하는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현재 그 해결책으로 바이오센서로 병소를 찾은 뒤 약물을 터뜨리는 나노입자를 설계하는 연구가 한창이다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