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9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신경암호' 생성원리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3
발현 억제성 신경
세포
는 신경신호 발화빈도가 낮을 때, 소마토스타틴발현 억제성 신경
세포
가 각각 신경신호를 시공간적으로 조절했다. 연구팀은 신경암호가 생성될 때 억제성 신경회로의 역할을 수리적으로도 증명했다. 곽 교수는 “향후 뇌 정보처리에 있어서 신경신호에 정보가 어떻게 담기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
2020.04.23
8년의 연구를 마치고 하버드대 의대에 자리를 잡은 그는 효소를 분리하고
세포
에서 효소 기능을 알아내는 연구를 지속했다. 이후 그린은 컬럼비아대를 거쳐 위스콘신대 의대에서 연구자로 생을 마감했다. 미국과학한림원은 회원의 부고를 '회상록' 형태로 잘 정리해둔다. 보통 해당 과학자를 가장 ... ...
중앙임상위 "항체 형성돼도 재양성 나오는 것은 '죽은 바이러스'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0.04.23
있다”고 22일 밝혔다. 이어 “구강과 호흡기 상피
세포
에서 죽은 바이러스 조각이 상피
세포
탈락과 함께 배출되면 이것이 검사에서 검출될 수 있는 것”이라며 “중대본의 이번 조사결과는 완치자의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는 것과 상관없이 모든 환자에서 중화항체가 잘 생겼다고 해석하는 ... ...
[의학게시판] 서울성모병원, 간이식 면역조절 치료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후 면역억제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억제제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정상적인 면역조절
세포
군까지 억제한다. 연구팀은 환자 면역상태를 확인하는 마커를 개발해 이를 면역조절 약물개발에 이용했다. 해당 약물은 개발 임상 1상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한림대 강남성심병원은 이달 8일 ... ...
"인터페론 투여하면 신종 코로나 감염증 악화할 수 있다"
연합뉴스
l
2020.04.22
있는지 등을 파고들게 된다"라면서 "연구 결과는 현존하는 약제 가운데 어떤 것이 그런
세포
작용에 맞는지를 가려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혈압 치료에 쓰이는 ACE 억제제가 코로나19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통상적으로 ACE 억제제는 고혈압 ... ...
하지마비 환자, 뇌파 인식모자 쓰고 로봇옷 입고 걷는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가졌는지를 해석해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사람의 뇌는 870억 개의 신경
세포
가 있고
세포
마다 1000개 이상 신호를 주고받는 시냅스를 갖고 있다. 이를 많아야 수천 개의 전극으로 파악한다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연구팀의 외골격로봇이 뇌파를 받아 움직이는 방식을 그림으로 표현했다. KIST 제공 ... ...
녹내장 유전자 치료법 개발
연합뉴스
l
2020.04.22
방법을 개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ScienceDaily)가 21일 보도했다. 아쿠아포린1 유전자는
세포
내 물의 출입을 조절하는 막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로 이 유전자를 억제하면 녹내장의 원인인 안압 상승이 해소된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유전자는 수정체(lens)에 연결되어 있는 띠 모양의 조직인 ... ...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열망 크지만..."안전성·장기화 고려 차분한 대비 필요"
2020.04.22
바이러스 침입시 활성산소를 만드는 과정을 방해하는 약으로, 임상1상을 거쳤고
세포
실험에서 렘데시비르의 3분의 1 정도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했다. 그 외 다른 업체들의 경우엔 신약처에 IND를 신청했으나 자료 보완 요구 등을 받거나, 후보물질 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
[의학게시판]정확한 심폐소생술, 생존퇴원율과 뇌기능 회복율 높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치료가 중요하다"고 21일 밝혔다. 흉선은 가슴 중앙의 양측 폐 사이에 위치해 면역
세포
인 T
세포
를 만들어낸다. 중증근무력증은 전신에 있는 근육의 힘이 일시적으로 빠지는 질환이다. 김 교수는 수술로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 흉선암 치료와 재발 방지를 위한 최선의 치료법이라고 밝혔다 ... ...
'유전자가위' 이용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기술 아이디어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인플루엔자A 바이러스(H1N1)를 직접 감염시켜 바이러스 억제 효과도 확인했는데, 역시
세포
내 바이러스 수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아직 기초연구 단계로 의학적 적용을 논의할 단계는 아니다. 연구팀은 “기도에 안전하게 크리스퍼-캐스13을 이동시키는 기술을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