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와만들라보~!] 크리스마스에는 카드를~라보로 비밀 카드를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이용했어요. 오른쪽 조이콘을 카드에 가까이 대면, IR 카메라는 크리스마스 카 드의 반사도가 높은 부분을 인식해요. 즉, 검은 마분지로 만든 크리스마스 카드에서 가장 밝은 부분인 흰 눈사람을 인식하는 거죠! 섭섭박사님은 흰 눈사람을 인식한 조이콘이 출력 노드로 신호를 보내도록 토이콘 ... ...
- [핫이슈] 미래의 과학자를 꿈꾼다, 메이커 페어 타이베이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사진을 얻을 수 있어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인생샷’을 남길 수 있답니다.시작이반인 팀의 우다연(경기 설봉중) 친구는 “메이커 페어 덕분에 IT 기술에 더 흥미를 갖게 됐다”며, “진로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어요.메이커 페어 타이베이 2019 일정을 모두 마친 ... ...
- 밴쿠버●미션, 거대한 나무 흔들다리를 건너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지역에 만들어지는 숲이에요. 지구 표면의 0.2%만 남아있는 자연환경이고, 그중에서도 반 이상이 북아메리카의 서해안에 모여있지요.“나무가 진짜 커요! 안내판을 보니 60m도 넘게 자란대요!”박지우 친구가 놀란 목소리로 말하며 친구들과 손을 맞잡았어요. 거인의 다리 같은 나무들은 탐험대 3명이 ... ...
- [섭섭박사 실험실] 과즙이 팡팡! 열대과일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몰려 있으면 그 부분은 (-)전하, 다른 한쪽은 (+)전하를 띠어 ‘극성 물질’이 된답니다. 반면, 전자가 고르게 분포하면 극성을 띠지 않는 무극성 물질이 되죠. 무극성 물질은 무극성 물질을 잘 녹이는데, 풍선의 고무와 리모넨은 모두 무극성 물질이에요. 따라서 레몬 껍질 속 리모넨이 풍선을 녹이는 ... ...
- [출동!기자단] LG CLOi와 랄라큐브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게임을 해보았어요. 그림자로 가려진 물체를 손으로 문질러 정체를 알아내고, 과일을 반으로 쪼개 과일 속 모양을 확인해 보았지요. “클로이로 유튜브도 볼 수 있나요?”석지아 친구의 질문에 김남건 연구원님이 대답했어요. “클로이는 유튜브보다 더 재밌는 영상을 틀어줘요! 클로이에게 ... ...
- [알고리듬 시그널] 흉가를 빨리 탈출하려면 이걸 알자! 알고리듬의 실행시간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배워봐요. 100개의 수 중 1개를 찾을 때 1부터 차례차례 찾아 나가는 ‘단순탐색법’과 반씩 나눠 답을 찾아가는 ‘이진탐색법’은 모두 탐색 알고리듬입니다. 하지만 효율성에는 큰 차이가 있죠. 100개의 수 중에 하나를 고르는 문제처럼 단순한 경우에는 알고리듬의 효율성이 금방 드러나지만, ... ...
- 수동의 크리스마스 교통지옥 돌파기, 빅데이터 히어로가 탄생하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수동은 그간 잠재돼 있던 특별한 힘에 눈을 뜬다! 조금만 기다려, 태형아! 이 길을 뚫고 반드시 너에게 달려갈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크리스마스 교통지옥 돌파기, 빅데이터 히어로가 탄생하다!Part1.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 Part2.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 Part3. 꽉 막힌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답을 틀러도 되는 신기한 수업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올해 말에는 중학교 1학년, 2학년에 이어 3학년의 대안교과서가 나올 예정입니다. “일반 교과서로도 충분히 깊이있는 사고를 할 수 있어요. 다만 학생들이 공부할 때만큼은 답이맞고 틀리고에 너무 연연하지 않고, 그 과정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으면 좋겠습니다.” ● MATH STORY, 오늘 배운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다양성이 가장 높고, 열대지역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멀어질수록 종 다양성이 줄어든다. 반면 지렁이는 열대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가장 낮았다. 종 다양성은 유럽, 미국 북동부, 남미의 남쪽 끝, 뉴질랜드와 호주 남부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렁이의 밀도(단위면적당 개체수)와 생물량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다양성이 가장 높고, 열대지역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멀어질수록 종 다양성이 줄어든다. 반면 지렁이는 열대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가장 낮았다. 종 다양성은 유럽, 미국 북동부, 남미의 남쪽 끝, 뉴질랜드와 호주 남부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렁이의 밀도(단위면적당 개체수)와 생물량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