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상"(으)로 총 1,7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스스로 물 정화하는 초소형 로봇, 야누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힘을 이용해 앞으로 이동해요. 반대쪽에서는 은 나노입자가 세균의 세포벽과 세포막에 손상을 일으켜 세포 안으로 침투해 세균을 박멸해요.실험 결과, 야누스는 외부의 에너지 공급 없이 스스로 움직이며 15~20분 동안 작동했어요. 이 과정에서 물에 있던 대장균의 80%를 없앴지요. 또 야누스가 수명을 ... ...
- Part 4. [미션 2] 태양풍을 관측해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11월 초에 일어났어요. 이때 태양을 관측하던 SOHO 위성이 고장 나고, 많은 우주선들이 손상을 입었어요. 국제우주정거장의 우주비행사들도 방사선을 피해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해야 했지요.이처럼 태양폭풍은 지구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어서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러려면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목했다. 실제로 진앙에서 10km가량 떨어진 포항 남부 지역에서는 지진으로 인한 건축물 손상 등 피해가 미미했다. 이번 지진으로 액상화 현상이 국내에서 처음 관측돼 우려를 낳고 있다. 액상화 현상은 지진으로 지반이 변형 되면서 유출된 지하수가 지반 곳곳에 스며들어가 땅이 물렁해지는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다. 얼굴 인식은 우리가 삶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방추상얼굴영역이 손상되면 친숙한 사람의 얼굴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안면실인증(prosopagnosia)’을 앓을 수 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2%가 안면실인증으로 대인관계 기피 등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뇌의 다양한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네 마리쯤 집어 새끼손가락만한 튜브에 넣었다. 그는 “무리하게 채집하면 군체자체가 손상돼 복구가 불가능해진다”며 “흙 표면에서 일개미 몇 마리만 채집하고 끝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동 씨는 그마저도 연구 목적일 때만 채집한다고 했다. 실제로 그는 이날 여섯 종 이상의 개미를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로봇 다리처럼 신체의 일부를 대체하거나 인공심장, 인공망막, 인공와우(달팽이관)처럼 손상된 장기의 기능을 대체한다. 영화의 사이보그도 사고로 인해 잃어버린 신체 부위를 각종 기계장치로 교체한다. 하지만 사이보그는 잃어버린 신체 기능을 최대한 회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오히려 신체 ... ...
- Part 1. 채소왕 시금치의 특별한 프로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받거나 햇빛 속 자외선에 오래 노출되면 활성산소의 양이 늘어나지요. 활성산소에 의해 손상된 세포들은 노화되거나 심하면 암세포로 변하기도 한답니다.육홍선 교수는 “시금치를 무칠 때 사용되는 참기름이나 마늘 속 영양분을 같이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에 더 유익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2배 많다. 김 교수는 “아직 그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면서도 “여성호르몬이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 속도를 촉진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성호르몬이 (피부 수분 함량 차이에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수분이 부족한 건성과 유분이 많은 지성 같은 피부 특성도 과거에는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또 면도하면서 피부가 많이 상한다. 있어야 할 각질이 떨어져 나가면서 피부 장벽이 손상돼 피부가 건조해진다. 면도한 뒤 스킨을 발랐을 때 따가운 이유는 붙어 있어야 할 각질이 떨어져 나갔기 때문이다. Q 피부에 맞는 화장품을 찾는 방법이 궁금하다.A 여자들은 자신의 피부 타입을 쉽게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바로 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고로 특정 신경세포에 손상이 생긴 환자라면, 이 환자의 피부세포를 떼어다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든 뒤, 다시 신경세포로 분화시켜 이식할 수 있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 자체가 환자의 체세포에서 시작한 것이기에 환자가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