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탈출! 퍼즐이 보여주는 놀라운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그리고 거기에는…,“퍼즐러 박사님?!” 직소퍼즐로 블랙홀의 그림자를 완성하다2019년, 인류가 블랙홀의 그림자를 최초로 포착했어요. ‘사건의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은 유럽과 남미, 남극 등 8곳에 있는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블랙홀의 그림자를 관측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했어요. 이때 ...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으로 1만 년 뒤 우리의 모습을 그리다!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우리 대부분이 놓치고 있을 긴 수학의 역사에 집중합니다. 수학이 과학, 더 나아가 인류의 문명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짚어 내지요. 현재에 이르러서는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수학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과거, 현재를 짚은 데서 그치지 않고 무려 1만 년 뒤의 모습을 상상 ... ...
- [CES 2022 현장 리포트] “미래는 공존을 택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등 우리의 건강한 삶을 앞당길 기술도 성황을 이뤘다. 혁신이 바꿀 사회, 기술이 바꿀 인류이번 행사에서 관람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은 것은 전시뿐만이 아니다. 기술 발전을 선도하는 기업들은 저마다의 비전을 제시하며 취재진을 놀라게 했고, 그간 베일에 싸여있던 아이디어를 실현시켜 ... ...
- 인류멸망시나리오① 3℃ 더워진 2050년, 문명이 붕괴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홍수가 찾아왔다. 그래도 두 재앙만 있었다면 버틸 만했을지도 모른다. 해수면 상승은 인류에게 직격탄을 던졌다. 만조가 될 때 태풍이 몰아치면 삼각주를 거슬러 역류하는 바닷물에 농민들은 속수무책으로 농지를 내줘야 했다. 몇 번 바닷물이 밀려들기를 반복해 땅이 염분을 가득 머금게 되자 더 ... ...
- 사라진 골목의 시계장인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980년대한국 시계 산업이 예지동에서 자생하다 전미영 앙코르 대표는 예지동 시계골목을 인류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동시에, 이곳의 산업문화를 보존하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는 2020년 발표한 논문 ‘산업화 ‘너머’의 작업장: 예지동 시계골목의 기술과 문화’에서 “예지동에 시계기술자와 ... ...
- [융복합@파트너] 생체 모방으로 탄생한 친환경 약물 패치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박 교수는 “가장 친환경적인 것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인류와 지구에게 유용한 기술을 연구하겠다”고 말했다.아찔한 실수가 생체 모방 ‘친환경’ 약물 계기로한때 작가를 꿈꿀 만큼 글을 좋아했던 박 교수는 대학 시절 모더나의 공동설립자이자 세계적인 석학인 ... ...
- [기획] 슬기로운 뼈 탐구생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안녕? 내 이름은 ‘이에나’. 성은 ‘하’니까 편하게 ‘하이에나’라고 불러!멋진 줄무늬와 목덜미에 갈기처럼 난 풍성한 털이 나와 같은 줄무늬하이에나의 매력 포인트지. 내 취미는 뼈 수집과 탐구. 온갖 동물의 뼈로 가득한 내 방으로 초대할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슬기 ... ...
- EARTH MAGAZINE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천지다. 지구를 인간이 지배했던 건지, 플라스틱이 지배했던 건지 헷갈릴 정도다. 인류 멸망 직후, 수심 1만 898m에서도 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됐다. 플라스틱 조각 대부분이 수심 1000~2000m 바다에서 발견됐고 이 중 89%가 일회용 제품으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doi: 10.1016/j.marpol.2018.03.022 미세플라스틱은 더 ...
- ‘시계’ 한 마디로 40년을 건너다│전미영 대표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시계골목 상공인들은 ‘특이한 애’라고 부르면서도 받아들였다.원래 서울대 박물관 인류민속부 학예연구원으로 문화유산 관련 행정 업무를 하던 그다. 전 대표는 앙코르를 ‘박물관’이라고 부르며 자신을 ‘큐레이터’로 지칭했다. 시계골목 팝업스토어는 두 개의 층으로 구분돼있다. 시계를 ... ...
- [수학자 가상 인터뷰] 수학으로 세상을 설명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책으로 꼽히는 ‘프린키피아’를 쓴 바로 그분이시죠! 네. 모든 물체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다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설명한 책이지요. 사람들이 제 덕분에 세상의 자연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하더군요, 하하. 저는 자연의 법칙을 숫자와 식, 타원,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