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자"(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네 서점을 거니는 느낌으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한 권에 꾹꾹 눌러 담는다는 심정으로 굵직한 사건들을 신중하게 추려냈다”고 밝혔다.(저자의 말에 따르면 편파적으로 고른) 물리학의 중요 사건들을 따라가다 보면,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져 온 물리학의 큰 줄기가 머릿속에 그려지는 느낌이 든다. 물론 세세한 내용은 알기 어렵다. 그러나 ...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건축창의체험’을 찾았다. 독자기자들은 그곳에서 의 저자이자 건축커뮤니케이터로 활동 중인 조원용 건축사를 만났다.“여러분, 다들 아파트에 살고 있나요?”“네!”조원용 건축사가 가벼운 질문으로 시작했다.“아파트, 집으로서 어떤 것 같아요? 내 생활 방식에 ... ...
- [Fun] 수학과 과학은 답을 알고 있다? 천만의 말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전신마취약, 소파 옮기기 등 우리 일상과 밀접한 주제를 포괄적으로 다뤘다.공동 저자 중 한 명인 마루야마 아쓰시는 “학교에서 공부하는, 답이 나와 있는 문제는 미해결 문제를 다루기 위한 준비 과정”이라며 “과학의 진수는 역시 미해결 문제에 있다”고 말한다. 그 즐거움이 궁금하다면, 책을 ... ...
- [Fun] 이 책을 여는 순간, 당신의 뇌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과학동아 12월호를 만들면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거대한 핵융합 장치 중 하나인 ‘스텔러레이터’ 사진을 표지로 결정했는데, 알고 보니 영국의 과 ... 부록이지.” 이번 겨울엔, 중요한 건 알지만 그간 너무도 무심했던 뇌에게 말을 걸어보자. 저자들이 알려준 영국식 유머를 섞어서 ...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모른다. 그렇다고 알고리듬으로 돌아가는 세상에서, 알고리듬을 끊어내기란 불가능하다. 저자의 마지막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만물의 공식’ 즉 알고리듬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야 한다고. 그것만이 우리의 인간다움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생명진화의 끝과 시작’이 대표적이다. 같은 이름의 EBS 다큐 프라임을 토대로 한 이 책의 저자는 PD와 대중과학저술가이다. 이들 중 대학에서 생물을 공부한 사람은 아무도 없지만, 책의 내용과 깊이는 전문가들을 머쓱케 할 정도였다. 한 전문가는 ‘PD들이 멸종을 이렇게 잘 설명하는 데, 우리는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힘을 과시했다.앞서 소개한 팬디 교수팀의 연구도 김민식 미국 존스홉킨스대 박사가 제1저자로 연구를 이끌었다. 행콕 교수는 “한국인 과학자의 리더십과 추진력, 협력하는 능력이 젊은 과학자들의 뛰어난 역량과 결합하면서 C-HPP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직각으로 만나다’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생소한 단어와 표현이 가득한 글을 가지고 저자와 부딪힌 적도 여러 번이었다. “이상한 애 하나가 들어왔다고 생각하셨을 거예요.”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모난 돌이 둥글어지듯 이 과장도 달라졌다. 이제는 ‘브라운 운동’ 같은 단어도 자연스레 쓰는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이름 붙였다. DNA 오리가미는 2006년 학술지 ‘네이처’에 처음 논문이 실렸다. 논문의 저자인 미국의 폴 로데문트 캘리포니아공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DNA로 만든 사각형, 별 모양, 웃는 얼굴 등 다양한 나노 구조물의 원자 현미경 사진을 선보였다.로데문트 교수는 우리에게 익숙한 이중나선 구조의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성공하지만, 경쟁자보다 불과 2주 늦었다. 그는 지도교수에게 후속 연구를 통해 공동저자라도 되고 싶다고 했지만 딱 한마디가 돌아왔다.* 문(門)문은 생물 분류에서 두 번째로 큰 단계. 종-속-과-목-강-문-계로 분류한다. "There is no second in Science(과학에는 2등은 없다)." 냉정했다. 조 교수는 그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