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가르치지 않아도 알아서 문 여는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손잡이를 잡아라’ ‘팔꿈치 관절을 넣어 식기세척기 문을 마저 열어라’ 하는 명령을 하나씩 내리는 식이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각각의 명령을 내리지 않고도 로봇을 동작하게 만드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프레임워크의 핵심은 인공지능(AI)의 대표적인 학습방식인 ... ...
- [최신이슈] 모방 범죄 일으키는 유해 콘텐츠, 조정 효과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대량 학살 사건이 일어난 후 13일 동안 다음 대량 학살 사건이 일어날 확률이 증가하고, 하나의 사건은 최소 0.30개의 새로운 사건을 유발했다. 타워스 연구원은 “직전의 대량 학살 사건이 다음 대량 학살 사건 발생률에 영향을 준다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대량 학살에 대한 뉴스 보도가 ... ...
- [인터뷰] 메이커 페어 서울 2023, 새로운 길을 만드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들을수록 올해 다시 돌아온 메이커 페어 서울 2023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졌다. 하나의 장르에 국한되지 않으며, 무언가를 만들고, 그러면서도 계속해서 새로운 길을 열어가는 사람들의 축제가 곧 시작된다 ... ...
- [인터뷰] 양자내성암호를 우리의 삶으로 이끄는 수학자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스텔레 교수의 크리스탈스 카이버와 딜리슘은 일반적인 LWE 문제의 많은 데이터를 하나씩 묶어 계산할 수 있는 모듈-LWE를 적용해 이 점을 개선했다. 그는 “2014년에 모듈 LWE를 활용한 연구를 발표했을 당시에는 이 연구가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며 “모듈-LWE를 활용하면 계산량을 크게 ... ...
- [빅잼] 영화 ‘크리에이터’ 스스로 생각하는 AI는 인간적인가, 인간의 적인가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뜻과 ‘snow’라는 뜻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언어 모델에서는 단어에 하나의 벡터값만을 할당해 두 의미를 구분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문맥에 맞지 않는 번역 결과가 나오곤 했죠. 반면 어텐션 메커니즘은 ‘쿼리(QUERY)’ ‘키(KEY)’ ‘밸류(VALUE)’라는 세 가지 기준을 계산해 ...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부르는 천문학자는 단언컨대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내가 좋아하는 타원은하가 딱 하나 있다. 거대 타원은하 3C 348이다. 헤라클레스자리 방향으로 약 21억 광년 거리에 있다. 이 은하는 헤라클레스 A 은하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물론 이 은하도 허블 우주망원경을 통해 찍은 가시광 사진으로만 ... ...
- [이달의 책] "지금 바로 직녀성부터 찾아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별이란 오랫동안 그 별을 바라본 수많은 사람의 생각과 꿈이 모이는 대상이었다. “별 하나를 통해 우리는 다양한 시간과 공간 속으로 떠날 수 있습니다. 같은 별을 함께 봤던 친구들을 떠올릴 수도 있고, 아주 오래 전 먼 나라에서 이 별을 보며 별자리의 전설을 떠올리고 상상력을 펼쳤을 사람들을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구역의 낚시왕! 비결은 ‘편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방향의 편광 필터가 장착돼 있죠. 서로 각도가 다른 영상을 받아들인 우리 뇌는 이를 하나의 영상으로 인식해 생생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거랍니다. 편광 현상은 우주를 관측할 때도 쓰입니다. 지난해 8월, 달로 떠난 다누리 탐사선에도 편광 현상을 이용한 장비가 실렸어요. 바로 ... ...
- [출동, 슈퍼M] 비만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고지혈증’, 간에 지방이 쌓여 더 큰 병을 일으킬 수 있는 ‘지방간’, 몸속 호르몬 중 하나인 인슐린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당뇨병’ 등에 걸릴 수 있어요. 최근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비만인 ‘소아비만’이 늘고 있어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17년 비만으로 치료를 받은 ... ...
- 천재가 예측하는 미래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아니라 수학계 전체가 AI에 관심을 집중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그의 행동과 말 하나하나가 큰 의미를 가진다고 여겨지기 때문이지요. 앞으로 그로 인해 AI가 얼마나 발전할지 기대됩니다. "감동을 줬던 지도 교수님이에요" KAIST 권순식 수리과학과 교수 타오 교수로부터 ‘책만 보고 공부할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