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선
향상
진보
개혁
쇄신
증진
일소
뉴스
"
개량
"(으)로 총 455건 검색되었습니다.
[그것을 알려줄개 ③] 본능과 이성 사이, 개는 억울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있습니다. 공격성을 낮추고 집 안에만 있어도 충분하도록 몸집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개량
되고 있습니다. 수천 년 전 인간에게 종의 운명을 맞긴 개는 살아남기 위해 또다시 인간이 원하는대로 선택할 겁니다. 그 때까지는 서로 조금 참는 것이 어떨까요? 싸움은 피하는 것이 상책이니 말입니다 ... ...
미생물 메아리로 질병의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여러 미생물의 유전자를 조합했다. 음파전달유전자(arg)-1을 넣은 미생물에서 성능이
개량
된 가스운반체가 발현되면, 이 가스운반체가 음파를 산란시키고 산란된 음파가 초음파 기기에 전달된다. 다만 초음파에서 발생한 음파의 압력이 너무 강하면 가스 운반체가 터져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 - ... ...
“아마존 서식 ‘황금왕관 마나킨’은 교잡으로 탄생한 새 종”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같은 속(屬)에 속하면 유전적 조성이 유사해 교잡종이 태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축
개량
에 많이 이용됐다. 암말과 수탕나귀 사이에서 태어나는 노새가 대표적이다. 서로 다른 유전자가 섞이는 만큼 순종교배에서는 볼 수 없는 새로운 형질이 나타날 수 있다. 노새 역시 당나귀나 말보다 더 ... ...
크리스마스 트리의 고향은 제주?!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미국은 구상나무를
개량
해 수십 종의 신품종을 만들어내고 특허까지 등록했다. 미국은
개량
한 구상나무를 세계로 판매했다. 이후 구상나무는 크리스마스 트리로 널리 쓰이게 됐다. 구상나무가 자생하는 숲은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다. 국내 구상나무 숲의 면적은 1200ha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 ...
크리스퍼 가위 교정 식품이 식탁으로 들어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성공 여부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 강병철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 교수는 “각
개량
기술마다 장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미래 식탁을 꾸리는 일에 어떤 기술이 승자가 될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 ...
씨없는 굴이 더 크고 맛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10.27
굴’로 불린다. 생식 능력을 없애 자손 번식에 필요한 에너지를 몸집을 불리는 데 쓰도록
개량
됐다. 보통 생물은 염색체 한 쌍(2배체)을 갖고 있는데 3배체 굴은 염색체가 1.5쌍이다. 염색체 이상으로 생식세포를 만들 수 없는 대신 몸집을 더 불린다. 일반 굴보다 성장 속도가 15~20%나 빨라 양식장에서 ... ...
[뉴스 되짚어보기] ‘농작물’ 진화 시작은 3만 년 전?
동아사이언스
l
2017.10.26
생태를 변화시켰습니다. 그 어느 시점에서 인류는 씨를 뿌리고 수확하며 품종을 더 빨리
개량
하는 육종을 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그 때가 바로, 우리가 아는 집약적 농업의 시작일 것입니다. 농사의 시점을 1만2000년 전보다 이르게 당겨 봐야 할지는 논란이 있겠지만, ‘농작물’의 탄생 시점은 ... ...
DNA 자를 필요없는 4세대 염기교정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10.26
작용하는 과정에서 DNA가 융합하는 것을 돕는 효소인 tRNA 아데닌 디아미네이스(ABE)를
개량
했다. 17개의 유사 ABE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 사람세포를 대상으로 표적 A-T쌍을 G-C쌍으로 최대 50%의 확률로 변환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유전자 결실 등의 오류가 0.1%이하로 발생해 정확도도 높은 것으로 ... ...
올들어 벌써 17번, 北 미사일 도발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
과학동아
l
2017.10.01
‘화성’은 북한이 붙인 이름이다. 가령 ‘화성-14형’은 2008년 미국이 발견한 ‘KN-08’을
개량
한 것이다. KN-14는 아직 북한이 정식으로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다. 미국의 다탄두 각개 목표 재돌입 미사일인 ‘피스키퍼’. 8개의 재돌입체가 태평양 환초섬에 명중하고 있다. 재돌입체 각각의 파괴력은 ... ...
반짝반짝 눈이 부셔~! 나만의 네온사인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9.25
현상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영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크룩스예요. 그는 1874년 자신이
개량
한 진공관인 ‘크룩스관’ 안에 *네온 기체를 아주 조금 넣어준 뒤, 전기를 흘려 넣었어요. 그 결과 밝은 주황빛이 나오는 현상을 발견했지요. pxhere 제공 그런데 이처럼 네온 기체와 전기가 반응하면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