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착
고착
안정
붙박이
불변
부착
붙바기
뉴스
"
고정
"(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붓글씨 쓰고 백신 접종까지...문어 다리 닮은 만능 그리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사물을 파지한 후 그리퍼의 외곽 구조가 딱딱하게 굳어지면서 물체의 위치가
고정
되기 때문에 파지한 사물로 다양한 일상 작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흡착형 그리퍼는 일상생활 속 사물을 집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도 제공했다. 연구팀은 그리퍼를 로봇팔에 장착한 후 ... ...
노르웨이 빙하에서 1300년전 타던 나무 스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보아 당시 귀하게 사용됐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주요한 특징은 중앙 스키와 신발을
고정
한 가죽끈과 가죽끈이 통과한 구멍 등으로 구성된 바인딩 장치가 선명히 남아 있다는 점이다. 2014년 연구팀이 발견했던 스키 한 짝과 매우 유사한 구조와 형태다. 이로써 바인딩 장치가 보존된 스키 중 가장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시시각각 더 많은 사고력과 정확한 판단이 필요한 때
2021.10.02
세상 모든 것을 하나하나 다 신경쓰고 사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삶의 큰 부분을 습관,
고정
관념, 편견, 인상, 동조 등에 기대 별 생각 없이 처리하고 정말 필요한 일에만 사고과정을 개입시킨다는 뜻이다. 예컨대 사람들에게는 10년 후 또는 당장 내년에 자신이 몸 담고 있는 환경에 큰 변화가 ... ...
[사이언스N사피엔스]빛나는 흑체, 20세기를 열다
2021.09.30
훨씬 더 복잡한 형태를 띤다. 고전물리학에서는 평균에너지가 온도에 정비례하는 값으로
고정
돼 있지만 플랑크의 결과에서는 평균에너지가 진동수의 복잡한 함수로 주어진다. 이 함수를 플랑크 곡선이라 부른다. 플랑크 곡선은 흑체복사의 실험결과와 너무나 잘 맞는다. 플랑크의 가설에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해안 조력발전에 대한 환상
2021.09.29
0년 동안 kWh(킬로와트시)당 전력 구입 단가를 태양광의 129원보다 훨씬 높은 14만3826원으로
고정
해주더라도 고질적인 적자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한다. 이미 완성되어 있는 방조제에 조력발전 설비를 갖추는데도 6867억 원의 비용이 필요하다. 허울뿐인 ‘세계 최대’의 조력발전소 서해안은 ... ...
[프리미엄 리포트]플라스틱과 공존 꿈꾸는 젊은 기업들
2021.09.25
선보였다. 플라텍스는 국내에서 수집한 폐페트병으로 만든 재활용 원단이다.
고정
폭 145cm인 원단 1야드(약 91cm)에 500mL 폐페트병 20개가 사용된다. 8월 9일 채연서 쏘왓 대표를 전화 인터뷰로 만났다. 채 대표는 “작은 플라스틱 폐기물은 사람 손으로 골라내기 어려워 대부분 재활용되지 않는다”며 ... ...
추석 벌초·성묘·농작업 때 벌· 뱀·진드기 조심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9.18
않을 때까지 천을 꽉 조인 다음 조금씩 풀어주면서 맥박이 강하게 만져지는 순간에 천을
고정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간혹 민간요법에 따라 뱀에 물린 부위를 째고 나서 입으로 흡입해 뱉어내려는 사람이 있다. 이것은 상당히 위험한 행동이다. 물린 부위를 잘못 절개해 동맥이 손상되면 다량 피가 ... ...
국산 무인기 3종 기후변화 현장 그린란드 빙하 상공을 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7
개발한 촬영 및 항법시험용 드론과 에이엠피의 기상관측 드론, 하이텐의 지도작성용
고정
익 드론이 활용됐다. 항우연은 “이번 비행시험을 통해 극지환경 무인기 운용 특성을 확인하고 빙하지역의 지도 영상 작성, 항법성능시험을 수행했다”며 “극한환경에서 국내 무인기 성능을 입증한 데 ... ...
가장 맛있는 순간의 차맛 유지하는 찻잎거름망·인라인 초보자 안전장치 올해 학생발명왕
동아사이언스
l
2021.09.14
앞으로 쏠린다. 무게추가 벨트 풀림부의 톱니를 잡으면서 벨트가 풀리지 않고 단단히
고정
된다. 이 양은 발이 앞으로 빠르게 나아가면 무게추가 바퀴에 연결된 톱니를 잠가서 바퀴가 도는 것을 막는 구조를 찾아냈다. 무게추가 다리를 들어 올릴 때 정확히 앞으로 쏠리게 하고 바퀴가 헛구르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계천의 왜가리는 별종일까
2021.09.14
관찰한 결과 큰유황앵무는 5단계를 거쳐야 뚜껑을 열 수 있었다. 먼저 경첩으로 통에
고정
된 쪽의 반대쪽을 부리로 집어야 한다. 다음으로 뚜껑을 어느 정도 열고 나서 몸으로 바친 뒤 통 위를 따라 경첩 쪽으로 걸어가야 뚜껑이 점점 열린다. 마침내 90°가 넘으면 뚜껑이 뒤로 젖혀지며 완전히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