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18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마라톤 풀코스 완주한 사족보행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수행할 수 있는 보행 성능을 갖추었음을 보였다”며 “후속 연구로는 라이보의 자율주행
기능
을 추가하면서 산악, 재난환경에서도 세계 최고 보행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정상 체중인데 비만치료제 '위고비' 투여해도 안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1.18
자체의 부작용 외에도 기존에 저체중인 사람이 과도하게 체중을 감량하면 중요한 장기의
기능
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서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부작용도 위험요소다. 위고비의 임상시험들은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정상·저체중 ... ...
[표지로 읽는 과학] 복잡한 DNA 염기서열 해석·생성하는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유전자 가위로 알려진 크리스퍼(CRISPR-Cas) 분자복합체의 염기서열을 만들고 실제로
기능
하는 것을 확인했다. 1메가베이스(Mb, 염기쌍 100만 개) 이상의 염기서열을 가진 DNA도 생성할 수 있었다. Evo를 활용하면 작은 DNA 변화가 생명체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새로운 생물학적 시스템을 설계할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시조새와 현대 새의 중간, 조류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24.11.16
원시 조류와 같이 운동과 균형 감각에 관여하는 소뇌의 크기는 작았으며 고차원적 인지
기능
을 수행하는 대뇌는 약간 큰 편에 속했다. 그러면서도 현대 조류의 크고 둥근 두개골에 이빨이 없고 눈이 큰 외형적 특징을 갖고 있었다. 연구팀은 "나바오르니스 헤스티아에의 두개골은 현대 조류의 ... ...
[과기원NOW] GIST, 학생연구원에 대한 갑질 뿌리 뽑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소재로 만들어진 전극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주요한 구조물에 결합해 특정 성질이나
기능
을 부여하는 '펜던트(pendant) 도입' 접근법을 이용해 전해질이 MOF 내부로 더 쉽게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원리다. 연구팀이 개발한 슈퍼커패시터는 성능평가에서 7000번의 충·방전 후에도 90% 이상 성능을 ... ...
종합병원·전문병원 보상 강화…의료사고심의위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이번 논의의 골자다. 특화·전문병원을 육성하기 위해 기존 전문병원 유형을 목적·
기능
에 따라 재분류하고 성과에 따른 보상도 강화하기로 했다. 뇌혈관, 화상, 심장, 아동 등과 같이 필요하지만 공급이나 수요가 부족한 분야엔 보상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이어 의개특위 의료사고 안전망 ... ...
유전자 교정으로 '달달해진' 토마토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당분을 분해했다. 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CRISPR) 캐스9를 사용해 두 유전자가
기능
하지 않도록 만들자 토마토의 당분 함량은 최대 30% 증가했다. 두 유전자를 제거한 토마토는 유전자 교정을 하지 않은 토마토와 비교했을 때 무게와 수확량에 큰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를 교정한 ... ...
[르포] 세계적 화석 산지 캐나다가 '고생물학 선진국'이 된 이유
과학동아
l
2024.11.13
공룡 박물관의 전경. 2015년 개관해 앨버타주 북부의 화석을 연구하는 복합 연구기관의
기능
을 수행하고 있다. 과학동아 제공 취재를 진행하면서 화석 자원에 접근하는 방식은 국가마다 천차만별로 다르다는 점을 알게 됐다. 미국이 소유자의 권리와 자유를 존중해 판매를 허락했다면 캐나다는 ... ...
암세포 보호하는 T세포 겨냥한 암 치료 물질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GLUT3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쥐 모델에서는 Treg의 면역 억제
기능
이 사라지고 다른 면역 세포들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종양 성장이 억제됐다. GLUT3의 포도당 흡수가 단백질 수정 대사 경로(O-GlcNAcylation)를 활성화해 TIL-Treg의 종양 특이적 특성을 유지하도록 돕는다는 사실도 ... ...
천천히 걸음속도 높여도 다 아는 AI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기기에서 센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 변화를 탐지하고 동작을 정확히 인식하는
기능
이 필수적이다. 이를 변화점 탐지라 한다. AI 기술은 변화점 탐지의 품질을 향상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그간 변화점 탐지는 웨어러블 기기 등을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이 완만하게 변화할 때 정확도가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