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산
연봉
산맥
뉴스
"
연산
"(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시대, 지능형반도체로 반도체 신성장 동력 발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지능형반도체 포럼’ 창립총회와 기념식, 세미나를 열었다. 지능형반도체는 반도체에
연산
이 가능한 프로세서 기능을 더한 미래형 반도체로 스마트 기기에 AI 기술을 바로 적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지능형반도체 포럼은 지능형반도체 기술 최신 동향과 발전 방향을 산학연이 공유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속도와 정확도 한층 개선한 실리콘 양자컴퓨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기존과는 다른 접근방식을 접목했다. 양자 게이트는 양자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함수와
연산
자로, 입력값에 따라 출력 값을 내는 논리적 처리 함수의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실리콘 속 양자 게이트들을 기존보다 더 가깝게 배치했다. 양자 게이트들을 가깝게 배치하는 것은 기존에는 기술적 한계로 ... ...
양자컴퓨터의 산실 ‘IBM 리서치 취리히’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0과 1이 겹쳐 있는 중첩 상태로 유지된다. 양자컴퓨터는 큐비트의 불확정성을 이용해
연산
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2015년 IBM이 개발한 큐비트 회로. 양자중첩 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 IBM 리서치 제공 IBM 리서치 취리히에서는 현재 2개의 큐비트를 만들어 실험 중이다. ... ...
"軍도 탐내는 로봇, AI 손에 넣고 스스로 문제 풀며 진화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AI 기술 중 하나인 빅데이터를 동시에 여러 개의
연산
을 수행하는 멀티프로세서로 학습하는 딥러닝(심화학습) 기술은 지금까지의 로봇 연구방식을 뒤흔들었다. 조 팀장은 "동물이 부모 세대의 정보까지만 배우는 반면 사람은 지식을 담은 책에서 배우며 앞으로 ... ...
톱500 슈퍼컴 10기 중 7기 美中 보유…한국 ‘누리온’ 15위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분석했다. 반면 미국과 중국의 2강 체제는 더 공고해졌다. 500위 내 슈퍼컴퓨터의
연산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미국 슈퍼컴퓨터가 38.5%, 중국 슈퍼컴퓨터가 29.9%를 차지해 두 국가의 슈퍼컴퓨터가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컴퓨터 대수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중국이 219대(43.8%)로 압도적으로 1위를 ... ...
전자의 진동에너지로 정보 저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이를 정보 저장의 단위로 활용하면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값을 나타낼 수 있거나 병렬
연산
을 할 수 있는 ‘양자정보’를 저장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때문에 전자의 흐름 방향이나 크기를 사용하는 기존 전자공학은 물론, ‘스핀’이라는 양자역학적 특성을 이용하는 다른 ... ...
비트코인, 매년 美 라스베이거스 수준 이산화탄소 배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채굴 가능한 비트코인이 점점 줄어들수록 암호 해독이 어려워져 점점 더 많은 컴퓨터의
연산
능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고사양 컴퓨터와 그래픽카드를 동원해야 해 더 많은 전기가 소모된다. 블록체인 전문 통계사이트인 ‘블록체인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비트코인 채굴에 사용된 컴퓨터 용량은 ... ...
[프리미엄 리포트] 문외한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총정리
과학동아
l
2019.06.08
능력이 떨어진다. CPU가 중앙에서 모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하고 제어하기 때문에
연산
하는 양이 많아질수록 CPU와 메모리 사이의 병목현상이 발생해 속도가 떨어지고 전력 소모가 크다. 그런데 GPU는 방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병렬 처리 구조다(본디 게임에서 3D그래픽을 ... ...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06.02
속도로 뇌의 신경연결망을 분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며 “컴퓨터의
연산
속도가 계속 빨라지는 만큼 뇌의 신경연결망 지도를 만들고 이를 토대로 신경세포의 상호연관성과 기능의 발현 과정을 밝혀내는 게 불가능 한 일은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doi:10.1016/j.neuroimage.2018.12.015 뇌의 ... ...
스스로 학습하는 ‘AI 반도체’ 급성장… 완전히 다른 세상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뉴로모픽 프로세서를 살펴보고 있다. 뉴로모픽 반도체는 뇌의
연산
특성을 반영한 인공지능(AI) 반도체다. 전 교수와 박정우 연구원팀은 올해 2월 이를 극복할 돌파구를 열었다. 뇌의 원리를 그대로 모방하는 방식을 고수하지 않고, 뉴로모픽의 원리와 장점은 취하되 기존의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