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뉴스
"
한쪽
"(으)로 총 88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2019.11.17
확대하고 변형해 모델링한 성체의 빈 부분에 이리저리 끼워 넣으며 채울 수 있었다. 좌우
한쪽
만 보존된 화석은 CG 상태에서 좌우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손쉽고 정확하게 복구할 수 있었다. 도굴됐다가 몽골로 반환된 두개골과 발 골격도 사진과 연구자료를 이용해 뼈 하나하나를 모델링했다. 다만 ... ...
보행자 인식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볼라드 시스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대한 위상차가 검지대상 물체의 거리변화로 나타나서 마치 스테레오 카메라처럼 어느
한쪽
에서 바라보고 있는 형상과 다른 각도에서의 형상을 동시에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 볼라드 시스템에는 보통 이런 검지 기능이 없다. 검지기능이 있는 경우에도 고가의 레이더(RADAR)를 이용해 ... ...
언제 어디서나 초고화질 화면 보고 집에서 축구장 체험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실시간 실황중계 기술을 시연했다. ETRI 제공 마치 경기장에 앉아서 보듯 집에서 축구장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까지를 한눈에 보고, 언제 어디서나 통신망을 통해 초고화질 화면을 볼 수 있는 기술이 대거 공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이달 6일 대전 유성 ETRI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 2019 ... ...
논란의 구글 양자컴퓨터 칩 드디어 공개..."양자우월성 달성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IBM연구소 석좌연구원 등은 “양자컴퓨터와 기존 컴퓨터는 각자의 고유한 강점이 있기에
한쪽
이 다른 쪽의 우위에 서는 관계가 아니라 오히려 협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용어 설명 : 양자컴퓨터 양자컴퓨터는 관측 전까지 양자가 지닌 정보를 특정할 수 없다는 '중첩성'이라는 ... ...
구글 양자컴 '우월성' 논란에 경쟁사 IBM "기존 슈퍼컴 완전히 뛰어넘은 것 아냐" 반박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양자컴퓨터와 기존 컴퓨터는 각자의 고유한 강점이 있기에
한쪽
이 다른 쪽의 우위에 서는 관계가 아니라 오히려 협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IBM의 주장이 사실이라도 구글이 보인 양자컴퓨터 칩의 성과가 축소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IBM이 ... ...
신림동 원룸 사건 예방할 '안심귀가 도어락' 과학치안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0.22
닫히기 시작하면 바깥에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도 열리지 않는 문이다. 회전축이
한쪽
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부품인 라쳇기어를 활용했다. 문을 밖에서 잡아당기면 라쳇기어가 문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에 닿고, 그 결과 전류가 흘러 경보가 울린다. 개발에 참여한 김현우 씨는 “처음 ... ...
한빛 3·4호기 무더기 공극 책임 추궁에...시공사 현대건설 "법적 의무 다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보강재가 있더라도 콘크리트를 제대로 넣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 전무는 “
한쪽
면이 보이지 않은 채 하는 시공이었다며 “이후에는 콘크리트 기술이 발달하며 이런 문제가 해결됐는데 당시 시공에서 기준을 저희가 좀 어렵게 잡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날 국감에서 의원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깃편모충류' 군집 형태로 배아 발달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0
메커니즘을 통해 조직을 형성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조직 굽힘이다. 세포의
한쪽
면이 수축되며 조직 굽힘이 일어난다. 과학자들은 깃편모충류에서 일어나는 조직 굽힘 현상을 통해 동물에서 일어나는 조직 굽힘이 진화한 기원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킹 교수는 ... ...
"빨지 않는 옷 가능할까?" 노벨상 받은 연구도 이렇게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내가궁금해했던 것을 알게 된 계기였다”고 말했다. 안호진 씨는 “특정 분야 연구하면
한쪽
으로만 생각이 가는데 다양한 생각을 하는 계기가 됐다”고 소감을 말했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과학 중진국은 선진국이 낸 문제를 잘 푸는 나라고 과학 선진국은 문제를 내면서 답도 내는 나라”라며 ... ...
서로 다른 물질 붙여 전류 방향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진미진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원팀이 이종접합 소재 외부에 자기장을 걸어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 더 잘 흐르게 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일자에 발표됐다. 어떤 도체 소재의 양 끝단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을 가하면 전압이 높은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