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쇼크
충동
자극
충돌
타격
추진력
흥분
스페셜
"
충격
"(으)로 총 45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짧은 파장의 가시광선(파란빛)과 자외선을 많이 내놓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동반성-
충격
모형’이라고 부른다. 즉 관측한 스펙트럼이 초신성 폭발의 에너지에서 계산한 스펙트럼과 일치하면 두 백색왜성이 충돌하며 폭발한 초신성이고 파란빛과 자외선 영역이 예상치보다 좀 더 많으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DNA이중나선 골격에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박테리아를 발견했다고 밝혀 과학계를
충격
에 빠뜨렸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이를 규명한 실험방법에 결함이 많다는 지적과 함께 확실히 증명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데 왜 쓰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졌다. 그 뒤 액체크로마토그래피 ... ...
스트레스에는 ‘잠’이 보약인 이유
2017.08.06
더 다음 날에도, 그 다음 날에도 계속 그 일이 생각나고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 등
충격
의 여파가 오래 가는 것일지 모르겠단 생각이 들었다. 다음부턴 억지로라도 잠을 청해봐야겠다. ※ 참고문헌 Grandner, M. A., & Drummond, S. P. (2007). Who are the long sleepers?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he mortality relationship. ... ...
흉악범도 용서할 수 있을까
2017.07.08
피해의 정도를 평가절하하지 말고 그 일이 피해를 입은 사람에게 있어 얼마나
충격
적이었고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피해자의 경험과 관점에서 이야기 할 것, 2) ‘네가 그렇게 느꼈다면 미안해’처럼 본인을 사건과 상관 없는 제 3자 처럼 포지셔닝하고 또한 마치 피해자가 예민한 탓인 양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
2017.06.10
Bushman & Baumeister, 1998).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려 애쓸수록 자존감이 추락할 때의
충격
이 크며, 따라서 자존감이 높을수록 방어에 대한 욕구도 크다고도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높은 자존감의 긍정적인 측면은 유지하되 부정적인 측면은 피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노력이 수십 년 째 진행되고 있지만 이렇다 할 소득은 없는 상태다. ● 신경에 전기
충격
줘 면역계 진정시켜 학술지 ‘네이처’ 5월 4일자에는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는 전혀 새로운 접근법을 소개하는 심층기사가 실렸다. 신경에 전기쇼크를 줘 이에 연결돼 있는 면역계의 활동성을 낮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숨어있다는 사실이 하나둘 밝혀지면서 이런 실험에서 얻은 데이터가 쓰레기일 뿐이라는
충격
적인 결론에 이르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적지 않은 과학자들은 이런 사실을 외면하고 심지어 이런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 채 하던 대로 일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신약이 개발되는 과정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나타난다는 걸 보여준 여러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게 정말일까...’
충격
을 받은 필자는 기사에 소개된 논문들과 다른 관련 자료들을 찾아 읽어봤는데 상황이 심상치 않았다. 미세먼지가 폐뿐만 아니라 뇌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 본격적인 연구결과는 2002년 처음 나왔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동굴로 들어와 눈이 없는 동굴물고기(아래)가 됐다. 2013년 린드퀴스트는 이 과정에 열
충격
단백질(Hsp90)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 사이언스 제공 2013년 린드퀴스트는 하버드대 클리포드 타빈 교수와 함께 동굴물고기가 Hsp90이 감당할 수 있는 선을 넘은 스트레스로 인한 탈수로화의 예임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소련과학원의 초청으로 소련을 방문하게 된 버만은 그곳 과학자들의 열악한 실상에 깊은
충격
을 받고 이들을 돕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1990년대 초 소련 붕괴로 많은 과학자들이 그나마 있던 직장도 잃게 되자 버만은 이들을 미국으로 불러들여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도왔다. 한편 1960년대와 1970년대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