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SP-10’ 단백질의 항체입니다. 첨체는 정자 머리 끝에 있는 기관으로, 난자 막을 뚫는 데 필요한 단백질이 들어 있습니다. SP-10도 그 중 하나입니다. 일본 게이오대 의대 토시오 하마나티 교수팀이 수컷 쥐에게 이 항체를 주입했더니 실험 쥐의 정자가 암컷 쥐의 난자와 결합하지 않는다는 것을 ... ...
- 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점프를 높이 하려면 공중에서 돌지 않는것이 중요해요. 공중에서 회전을 하면 점프에 필요한 에너지가 분산돼 버리거든요. 이를 위해 연구팀은 각각의 다리에 톱니를 설치했어요. 그 결과, 톱니가 맞물리면서 두 다리의 움직임이 서로 같아져서 안정적으로 점프를 할 수 있었답니다. 또한 거품벌레 ... ...
- [수학뉴스] 최고의 투수가 되는 방법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오버핸드 스로우로 던질 때 정확도가 높았어요.또 물체가 목표 지점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최저 속도보다 약간 빠르게 던질 때 정확했어요. 앞으로 공을 던지는 연습을 할 때 연구 결과를 참고하면 좋겠죠?이번 연구는 ‘영국왕립오픈사이언스’ 4월 26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수학명언 책갈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평소에 보던 풍경도 높은 곳에 올라서서 보면 달라 보입니다. 키가 작아서 볼 수 없던 것이 보이고, 먼 곳에 있는 것도 한눈에 들어오니까요. 그런데 언제 ... 더 먼 곳을 보고 새로운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 하지만 어깨 위에 올라서려면 본인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 ...
- [DJ CHO의 롤링수톤] 걸어 다니는 오케스트라 한스 짐머의 ‘오일러 방법’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극도의 정밀함이 필요했고, 수학 이론과 계산이 완벽해야 했지요. 수학 천재 캐서린이 필요했습니다.백인 남성들 사이에서 유일하게 흑인이고, 여성인 캐서린이 커다란 칠판에 수식을 써 내려가며 문제를 풀어낼 때 배경에는 한스 짐머의 곡 ‘오일러 방법’이 나옵니다. 캐서린의 천재성에 대한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신뢰하고 따를 수 있기 때문이지요. 이런 리더십을 기르기 위해서는 수학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한 신입생은 모두 기본적인 수학을 배워야 합니다. 문과 출신이든 이과 출신이든 수학 수업을 들어야 하지요. 미분적분학, 선형대수학, 확률은 모든 생도들이 배우는 공통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같지만 전기모터를 쓴다)’ 36개를 날개에 달았다. 덕분에 수직이착륙이 가능해 활주로가 필요없다. 날아오른 뒤에는 엔진의 방향을 수평하게 바꿔 비행할 수 있어 같은 배터리를 썼을 때 드론형 플라잉카 보다 10배 멀리 날 수 있다. 또 날개가 크기 때문에 공기의 점성력을 적게 받아서 드론 ... ...
- [Issue] 과학강국의 이면, 인도 ‘다리 밑 학교’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몇 살이야?” “10살 아니면 11살.”“생일은 언제야?” “….”“커서 뭐가 되고 싶니?” “….”인도 델리 도심에서 차로 30분 가량 떨어진 야무나뱅크 지역. 45°C를 웃도는 찌 ... 교육을 받으면 충분히 잘 해낼 수 있는 아이들”이라며 “꾸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볍고 작은 배터리를 만들거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요.광주과학기술원 이종호 교수팀이 개발한 1μm(백만 분의 1미터)의 아주 얇은 태양전지(위 사진)가 대표적인 예지요. 이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로 바꾸는 효율이 13%로, 두꺼운 태양전지와 거의 ...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4색 정리예요. 서로 연결된 꼭짓점은 같은 색으로 칠하지 않으려면 최소 몇 가지 색이 필요한지 묻는 문제로, 4색이면 어떤 평면그래프도 칠할 수 있다는 것이 1976년에 밝혀졌어요.이후 수학자는 평면그래프의 모양에 따라 최소 색이 몇 개인지 찾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평면그래프에서 ... ...
이전356357358359360361362363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