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발생하는 40kHz(킬로헤르츠, 1kHz=1000Hz)의 초음파도 효과적이다. 마이크로 버블을 포화시킨
물
로 사과를 3분간 세척하면 효모와 곰팡이 균을 95% 없앨 수 있다. 세균 역시 95% 제거됐다.조미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연구사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는 기존 세척 라인에 맞춰 개발돼 ... ...
미생
물
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 본 기사는 2월 15일 이후부터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동영상 강의로 보실 수 있습니다. 미생
물
은 도처에 있다. 우 ... 시작했다. 이후 독일의 로버트 코흐, 영국의 존 틴달 등의 추가연구를 통해 생
물
이 무생
물
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는 자연발생설은 영원히 폐기됐다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남쪽 200km 떨어진 브랜스필드와 웨델 해로 향했다. 이후 이 지역을 항해하며 해양퇴적
물
을 채집한 뒤 21일 세종기지로 돌아왔다. 이 지역은 남극에 가까워 연구 가치가 높았지만, 떠다니는 빙하(유빙)가 많아 아라온 호가 없을 때는 연구하기가 쉽지 않던 곳이다.빙하를 시추해 분석하는 연구도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물
질로 이뤄져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
물
질을 이용해
물
에 쉽게 분해되는 비소화합
물
을 보호함으로써 불안정한 구조를 보호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Part 2. 비소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접었다가도 열을 가하면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답니다. 또 병을 치료하는 데 필요한
물
질을 작게 접어 몸 속에 넣은 후 다시 원래대로 되돌릴 수도 있어요 ... ...
추운 겨울 따뜻하게 보내려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어떻게 되는지 측정해 아래와 같은 공식을 만들었다. 사이플과 파셀의 계산식은
물
이 어는 시간을 재서 만들었지만, 2001년 캐나다와 미국에서 만든 JAG/TI 계산식은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해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식이 다소 복잡해 직접 값을 구하기 어려워 보인다. 계산기를 이용해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저자들은 이 박테리아가 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보여줬을 뿐 비소가 들어 있는
물
질의 분자 구조를 확실히 보여주지 못했다”고 말했다. 논문에서는 박테리아에서 분리한 생체 분자에 비소가 인보다 많이 들어 있음을 보였지만, 이것만으로는 비소가 인을 대신해 분자 구조의 같은 위치에 들어가 ... ...
빛으로 떠오르는 광학 날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연구진은 “빛의 양력 현상은 작은 기계의 동력원으로 쓰거나 액체에 담긴 작은
물
질을 옮길 때 활용할 수 있다”며 “우주선의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는 ‘네이처 포토닉스’ 12월 6일 온라인 판에 발표됐다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흙에 얽힌 재미난 사례가 모두 일본 중심이라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화산재 위에 식
물
이 자라면서 만들어진 검은 부식토(화산회토)처럼, 활화산이 발달한 지형에서만 볼 수 있는 흙이 궁금하다면 읽어볼 만하다. 농사 외 용도로 생활에 쓰이는 흙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롭다. 예를 들면 활석이나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2009년에는 miR-29가 암 억제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는 내용을 ‘네이처 구조·분자생
물
학’에 발표했다.김 교수는 이와 같은 공로로 2007년 여성 과학계의 최고상으로 꼽히는 ‘로레알 유네스코 세계 여성과학자상’을 받았다. 생명과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 ‘셀’의 편집위원으로도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