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1946년 에니악의 탄생 이후 눈부신 발전을 이뤘다. 당시의 과학자들이 예견하길 21
세기
의 컴퓨터는 냉장고 만한 크기로 작아질 것이라 장담했다. 그러나 우리는 지하철에서 손바닥 안에 들어가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1981년 IBM 컴퓨터의 운영체계를 개발한 빌 게이츠는 ... ...
③ 21
세기
첫 전장에 동원되는 첨단무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미국은 ‘테러와의 전면전’을 천명했다. 보이지 않는 적과의 전쟁을 시작한 미국은 21
세기
의 새로운 전쟁에서 승리를 위한 것이라면 가능한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공언했다. 미국이 말하는 ‘가능한 모든 수단’의 최선봉에는 델타포스, 레인저 부대, 네이비 실 등 영화에서나 봤음직한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발견했을 때만 해도 사람들은 이런 생물이 지구 어딘가에 살고 있다고 믿었다. 그런데 19
세기
에 들어와서 지구에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게 됐지만, 매머드나 마스토돈 같은 생물은 지구 어디에도 살고 있지 않았다. 생물이 멸종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현재 지구에는 얼마나 많은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영역을 관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후 더 작은 세계를 들여다보려는 인간의 노력은 20
세기
들어서도 여전히 이어졌다. 그 결과 1933년 광학망원경을 뛰어넘는 현미경이 개발되기에 이른다. 이것이 바로 제2세대 현미경인 전자현미경.전자현미경의 발명은 19
세기
말 전자의 발견으로 가능해진 일이다. ... ...
허준은 해부를 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다른 곳으로 전파되는데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러므로 시체해부가 허용됐다고 해도 16
세기
초까지는 르네상스의 본거지인 이탈리아에 해당하는 이야기일 뿐 다른 유럽 여러나라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곳이 많았다.1543년 ‘인체의 구조에 관하여’라는 해부학 책을 발표해 갈레노스 의학의 잘못된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전자소자의 크기는 단지 몇개의 원자크기로, 즉 나노미터(1nm=${10}^{-9}$m)로 줄어들어, 지난
세기
를 주름잡았던 마이크론 디바이스는 나노 디바이스에 지위를 넘겨줄 것으로 예측된다.그러나 디바이스의 최소 소자 크기가 광학적 한계인 수백nm 이하가 되면 기존의 반도체공정의 광학적 방법은 더이상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비롯된 블랙홀 연구는 급속히 발전하는 인공위성과 전자장비의 기술에 힘입어 21
세기
에 새로운 장이 열리고 있다. 블랙홀은 주로 블랙홀로 유입되는 물질에서 방출되는 X선에 의해 그 존재가 확인된다. 이때 유입되는 물질은 블랙홀 주위의 가스나 원반에서 흘러들어온 것이다. 이런 X선은 지구 ... ...
모델이 질겁한 8시간 노출 사진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만든 발명품 중 하나인 사진기도 발명 초기에는 조롱거리에 불과했다. 최초의 사진기는 19
세기
초 프랑스의 니엡스가 발명한 헬리오그래피인데, 사진에 찍힌 피사체의 형체가 뚜렷치 않아 별 주목을 받지 못했다. 사진을 인화할 수 있는 기술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빛의 ... ...
Ⅱ 투수 헛스윙 유도하는 주무기 변화구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공을 잡을 때 실밥의 방향을 어떻게 해서 잡느냐가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다. 똑같은
세기
의 똑같은 회전을 주어 던진 공이라도 어떤 공은 타자 앞까지 거의 가서 갑자기 변화하는가 하면 어떤 공은 밋밋하게 휘어져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두말할 것도 없이 훌륭한 투수는 이러한 공의 변화 시점을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최초의 비행을 성공하기 무려 8백년 전에 비행을 꿈꾸던 선구자가 있었으니, 그는 11
세기
영국 윌트셔 대수도원의 수도사였던 에일머다. 에일머는 하늘을 날기 위해 새의 깃털로 된 날개를 만들었다. 그리고 수도원의 높은 탑에서 비행을 시도했는데, 뜻대로 되지 않고 땅과 정면으로 충돌해 두다리가 ... ...
이전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