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뉴스
"
결국
"(으)로 총 4,17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03.26
점이 서로 자리를 바꾸고 옆면을 이루고 있는 띠들이 비틀리면서 안팎 면을 뒤집으면
결국
구가 뒤집힌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런 과정 중에 뫼비우스의 띠처럼 구를 비틀면 시작과 끝의 위상이 같은 도형이 된다는 것도 알아냈다. 이 도형을 ‘모랑 서피스’라고 부른다. 모랑 서피스. - (주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바꿀 수 있다. ● 은밀하게 축전지 추진전동기를 돌리는 힘은
결국
전기에너지다. 잠수함을 100% ‘전기배’라고 부르는 이유다. 기존 선박들은 내부의 디젤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지만 잠수함에선 한계가 있었다. 디젤발전기를 사용해 발전을 하려면 반드시 산소가 ... ...
[미래를 듣는다 3] “기술과 기업이 국민 행복의 1순위”
2015.03.25
및 공학(Engineering)은 혼연일체가 되어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돼버렸습니다.
결국
과학, 기술, 공학 사이에서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함을 논할 수 있었던 산업사회는 저물어가고, 과학, 기술, 공학이 하나로 융합된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고 있다는 것이 저의 솔직한 생각입니다.” - 그동안 ... ...
밀가루는 무죄!
과학동아
l
2015.03.24
뺀 식단으로 생활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습니다. 과학적인 근거도 발견되지 않아
결국
인정받지 못한 주장입니다. pixabay 제공 ● 빵과 면을 사랑한다면 밀가루를 의심하지 말라 밀가루가 건강에 좋지 않다고 주장하는 근거로는 이 외에도 몇 가지가 더 있습니다. 농약 투성이라거나 ... ...
[미래를 듣는다 2] “우리 몸의 세포처럼 응집력 높여야”
2015.03.24
‘제1회 과총 국가발전포럼’에서 강연 중인 소설가 복거일 씨.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지금 한국사회가 방향을 잘 잡지 못 ... 공통된 법칙을 찾아야 합니다. 생명체에서는 궁극적인 가치로 ‘유전자’를 꼽지요.
결국
사람 사회에서도 이를 보장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결국
우여곡절 끝에 이들의 실험과정에서 시약에 바이러스가 오염된 것으로 결론이 났고
결국
2011년 논문이 철회되기에 이르렀다. ‘사이언스’ 2011년 9월 23일자에는 무려 8쪽에 걸쳐 이 과정을 되돌아본 심층기사가 실리기도 했다. 이 글에서 과거 미코비츠 박사의 동료였다가 입장을 바꾼 미국 ... ...
[기자의 눈/김윤종] ‘책따’ 교실에도 희망이 있었다
동아일보
l
2015.03.19
행태를 비꼬는 글도 올라왔다. 하지만 ‘책따’는 청소년 탓이 아니다. ‘책따’ 현상은
결국
공부만 강요해온 어른들 책임이다. ‘책 읽을 시간 있으면 공부하라’고 잔소리하는 것이 우리의 교육 아니었나. 서점에서 만난 한 고교생은 “교과서, 참고서만 내밀던 어른들이 이젠 책을 안 읽는다고 ... ...
‘사랑하면 죽는 병’ 막아주는 생체물질 발견
2015.03.19
국내 영화 ‘백만장자의 첫사랑’에서 여주인공(이연희)은 ‘비후성 심근증’을 앓다가
결국
목숨을 잃는다. 영화 개봉 후 이 병에는 ‘사랑하면 죽는 병’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그런데 한국인 과학자들이 이끈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연구진이 이 병을 포함한 비후성 심장질환을 조절하는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통한 점진적인 진화를 주장했던 다윈으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현상이었고
결국
다윈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 아래 지층에서는 생물이 화석화가 되지 못한 결과라는 궁색한 가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1859년 초판이 나온 뒤 1872년 6판이 나올 때까지 다윈의 고민은 본질적으로 해결이 ... ...
지긋지긋 꽃가루 알레르기… 약으로 치료하면 나쁘잖아? 아니래!! !
동아일보
l
2015.03.16
섭취와 공기청정기 사용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가장 현실적인 꽃가루 알레르기 대책은
결국
약물치료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항염증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를 통해 증세를 완화시키는 게 적합하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 개발된 치료제들은 나른함과 졸림 현상도 거의 없다.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