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뉴스
"
작용
"(으)로 총 4,564건 검색되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자녀 교육은 어떻게?④]내(당신의) 아이는 ‘질문하는 능력’이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4.02
하지만 수업 시간에 진행되는 ‘질의 응답’ 과정은 교사와 학생 사이의 적극적인 상호
작용
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학습의 능률을 끌어 올릴 수 있는 중요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게다가 수업 시간 내 유익한 질문은 교실 안에 같은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도 수업의 전체를 이해할 ... ...
정권 공백기 과학계 기관장 선임 차질
동아사이언스
l
2017.04.01
것으로 보인다. 한 국내 출연연 관계자는 “기관장 자리는 정권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
하기 때문에 공석인 상황에서 손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음 정권이 들어서기 전엔 연구 현장이 계속 혼란을 겪을 것 같다”고 말했다. ... ...
두리안 ‘X냄새’가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7.03.30
표). 또 몇몇 성분의 농도가 그것의 냄새 인지 문턱값을 훨씬 넘어버린다는 점도 크게
작용
했습니다. 해당 냄새와 결합하는 후각 수용체가 이미 포화 상태를 이루고 있다는 뜻입니다. 유사한 향을 내는 다른 냄새 성분은 ‘없어도 그만’이 돼버리는 거죠. 과학동아 제공 김영석 이화여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내면 생명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물론 산불이 생태계에 긍정적으로
작용
하는 측면도 있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그렇다고 일부러 불을 내면서까지 생태계에 개입한다는 게 말이 되는 걸까. 호주 멜버른대 생명과학부 켈리 교수와 스페인 CREAF 루이스 브로톤스 박사가 쓴 이 글에서 ... ...
노화 세포 되돌리는 ‘회춘 약’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3.28
몸의 분해 공장 역할을 한다. 세포 속에서서 불필요한 물질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자식
작용
(오토파지)’을 하는 것. 리소좀이 노화해 기능이 떨어지면 노폐물이 쌓여 세포분열 및 성장 능력이 저하되고, 최종적으로는 치매와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연구진은 ATM이라는 ... ...
[개소리칼럼] 한밤 중에 개가 갑자기 열이 나며 구토를 합니다. 사람 해열제 조금 먹여도 될까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3.25
말하고 있습니다. 금전적으로 부담된다면 아예 시작하지 않아야 한다고요. 사건, 사고, 부
작용
은 다른 사람이 이야기하면 1만 마리 중에 한 마리 같은 작은 숫자지만, 내 개가 그 한 마리라면 100%입니다 ... ...
엄마 얼굴 쏙 빼닮았는데… 관상-성격은 왜 다르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3.24
‘결혼 늦어질 상(相).’ 최근 방영된 SBS 예능프로그램 ‘미운우리새끼’에서 가수 김건모(49)는 관상가에게서 ‘얼굴 때문에 결혼이 늦어졌다’라는 말을 들었다. ...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이미지만 찾는다”며 “얼굴로 성격을 맞히는 것도 이런 편견의
작용
일 수 있다”고 말했다 ... ...
AI 이어 '브라질 썩은 닭' 파문까지…닭고깃값 오르나
포커스뉴스
l
2017.03.23
파문으로 국내산 닭고기의 업계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점도 또 다른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당분간 프랜차이즈 업계가 치킨 가격 인상을 단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정부가 치킨 가격 인상을 강력 단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최근 외식 업체 BBQ의 ... ...
[카드뉴스]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3
색소인 안토시아닌도 그중 하나입니다. 플라보노이드를 많이 함유할수록 강한 항산화
작용
과 항암 효과를 보입니다. 색이 선명한 딸기일수록 몸에도 더 좋은 셈입니다. 춘곤증은 봄에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의 필요량이 늘어나 생기는 피로증상입니다. 이때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딸기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뇌세포에 아데노신 농도가 높아진 결과다. 뉴런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달라붙어 이런
작용
을 방해하는 물질이 바로 카페인이다. 커피를 먹으면 한동안 정신을 말똥말똥해지는 이유다. 문득 의지보다는 몸 속 호르몬과 신호분자가 우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더 큰 게 아니가 하는 생각이 든다.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