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뉴스
"
편
"(으)로 총 3,981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대구’ 게놈 최초 해독…동상-고지혈증 치료 청신호?
2014.09.26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세균이 거의 없는 지역이라 면역체계는 온대성 어류에 비해 약한
편
이다. 박 박사는 "남극대구가 저온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유전적으로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를 밝혀낸 것이 가장 큰 성과"라며 "이 결과를 인간에 적용하면 동상이나 고지혈증은 물론 면역질환 치료에도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영화 속 뒤뚱거리는 우주인의 걸음걸이에 대한 고찰
2014.09.21
연구 결과를 보고 영화 속 영웅들이 뒤뚱거리며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니 한
편
으로는 우습기도 하면서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다. 만약 제작진이 닐 암스트롱의 우주복이 걷기용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알고 영화 속 첨단 우주복을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형태로 묘사했다면 어땠을까? ... ...
대덕연구단지 20년 랜드마크 ‘엑스포과학공원’ 철거된다
2014.09.21
IBS 본원건물을 비롯한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활용할 전망이다. 또 공원부지 서쪽
편
부지에는 영상산업 활성화를 위한 ‘HD드라마타운’, 과학문화 시설 ‘사이언스센터’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철거공사는 엑스포과학공원 개발사업 시행자이자 부지소유자인 대전마케팅공사가 주관하게 ... ...
영화 ‘제보자’로 본 ‘줄기세포 3대 스캔들’ 제보자 집중 분석
2014.09.19
사이트가 아니라 해당 논문이 발표된 학술지 10종의
편
집위원들에게 제보자가 직접 ‘14
편
의 논문에서 줄기세포 사진에 중복 게재가 있다’는 내용으로 장문의 e메일을 보낸 것이다. 이들 논문의 교신저자는 모두 강 교수였다. 이 일은 논문 표절과 철회를 감시하는 해외 웹사이트인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8
편
]
동아사이언스
l
2014.09.17
직접 찾아가는 본격 이공계 진로탐방 프로그램,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8
편
에서는 바다에서 펼쳐지는 모든 공학! 조선해양공학과를 탐방한다. 초대손님은 수중음향 분야 최고 권위자 중 한 명인 성우제 교수! 성 교수가 생각하는 조선해양공학은 어떤 학문이며, 연구분야는 어떻게 ... ...
[채널A] 장수 노인 105명…‘토종 유산균’ 101개 발굴
채널A
l
2014.09.16
[인터뷰 : 윤빛나/서울 공릉동] 유산균 있다 그러고 장에 좋다 그래서 아침마다 챙겨 먹는
편
인데요. [인터뷰 : 정연상/서울 우면동] 소화 안 될 때 먹거나 그러면 소화잘 되는 느낌? 하지만 제품에 들어있는 유산균이 대부분 수입된다는 사실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뷰 : 노혜지/서울 면목동]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잡게 적극 도와줬을 뿐 아니라 실험에도 관여해 올해 1월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 두
편
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게 된 것이다. 알바레즈-부일라 교수는 부고에서 “요시키는 행복한 과학자였다”며 “그는 독특한 웃음을 띠며 부드럽게 말하곤 했다”고 회상했다. 올해 2월에도 사사이 박사의 ... ...
"공기 전염 에볼라는 당분간 불가능"
과학동아
l
2014.09.15
'에볼라'
편
에 참석한 정용석 경희대 교수(왼쪽)과 성백린 연세대 교수(가운데) - 윤신영 기자 제공 “에볼라가 공기로 전염되는, 더 감염 위험이 높은 바이러스로 진화할 가능성은 없을까요?” “여러 세대 뒤라면 모를까, 적어도 지금 세대에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 (정용석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느낀 저자들의 소소한 깨달음까지 기록돼 있어 한
편
의 수필을 읽는 느낌도 든다. 한
편
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 같이 생생한 사진과 함께 40세의 나이 차를 극복한 두 저자의 대화가 담긴 팔색조 관찰기가 매력적이다.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개발자의 과도한 의욕과, 학교교육 및 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이 낳은 결과다. 다른 한
편
으로, 기초소양 교육에서는 “싫어하더라도 반드시 가르쳐야 할 것은 가르쳐야 한다”는 접근을 넘어서서 “반드시 가르쳐야 할 것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찾는 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 ...
이전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