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6,439건 검색되었습니다.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11
해당한다. 우리은하와 비교해보면 크기가 절반 정도다. M33의 밝기는 5.3등급이며
지구
에서 약 2백80만광년 떨어져 있다. 즉 이 은하는 안드로메다은하 바로 바깥쪽에 위치해 있는 거대은하다.나일강의 델타에 위치해M33이 위치해 있는 삼각형자리는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던 별자리다. 과거 ... ...
2010년 우주정거장에 한국인 보낸다
과학동아
l
200311
ISS) 참여가 가장 중요한 근간을 이루고 있다. 1996년 과학기술부가 NASA와 우주과학과
지구
과학분야에 협력 의향서를 체결한 이후 양 기관은 꾸준히 기초과학 분야의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양국에 좀더 실질적으로 이익이 되는 대형협력사업을 수행하려는 공통인식 하에 국제우주정거장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11
교과서에도 실렸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순차적인 세포내공생 이론’이란 무엇인가.
지구
상에 생명이 출현한 이래 10억년이 넘는 기간 동안 생명체는 모두 오늘날의 세균처럼 세포핵이 없는 원핵세포였다. 마굴리스는 이런 세포들이 서로 공생관계를 이루면서 오늘날과 같은 진핵세포가 출현했다고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11
지구
의 전 지질 역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주장입니다.쉽게 말하면, 오늘날
지구
가 대규모 화산 폭발, 운석 충돌, 해수면 급상승 등과 같은 격변에 늘 시달리지 않는 것처럼 과거에도 그랬을 것이라는 발상이죠. 라이엘의 이론에 심취한 다윈은 생명의 진화가 그 누구도 살아서 목격할 수 없을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11
항공기의 강화플라스틱재료 등이다항성상 천체 강력한 전파를 내는 성운으로
지구
로부터 멀어져가는 속도와 에너지가 큰 것이 특징이다별의 최종 단계에서 만들어진 중성자별은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전파를 발생한다 이런 천체를 펄서라고 한다공기가 흐르는 현상이나 공기의 흐름이 ... ...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11
로켓의 역사는 원래 아시아로부터 시작됐다. 좀더 정확히는 중국이 로켓의 발명국이다. 11세기 중국에서 화전(불화살)에 불과했던 로켓 ... 비해 우주개발 의지는 매우 높다. 아시아의 주요 나라인 우리도 우주로 가야 한다.
지구
궤도뿐 아니라 달과 화성, 그리고 그 너머의 먼 우주로 말이다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11
밝혀내는 탁월한 방법이다. 이 방법이 의학 영상에는 어떻게 접목된 것일까.원자들은
지구
처럼 자전운동을 한다. 자기장 내에서 원자는 고주파 신호를 받으면 오뚝이처럼 쓰러졌다 일어서는 반응을 보인다. 이때 원자에 따라 각기 다른 파장의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인체의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11
분야는 물론
지구
관측, 감시분야 등 응용 범위가 매우 넓은 것으로 인식돼 왔다.성층권은
지구
상공 약 8-56km까지 형성돼 있는 대기층을 말한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류권에 비해 기상이 매우 안정적이어서 비행선이 장시간 체공하는데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 하지만 지상의 7% 정도인 공기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1
것이었다. 의존적 생명의 단위인 ‘낱생명’과 달리 자족적인 생명의 단위로 태양과
지구
를 포함하는 ‘온생명’ 개념을 설정했다. 장 교수는 “프리고진의 생명 이론,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어빈 슈뢰딩거의 생명론 등을 비롯해 동서양사상을 바탕으로 창안한 것”이라고 말했다.생태계 문제도 ... ...
비스킷은 왜 부서질까
과학동아
l
200311
깨지지 않는 ‘완벽한 비스킷’을 제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영국 러프버러대
지구
물리학 박사과정생 콰심 살림은 비스킷이 깨지는 이유를 지진대 조사에 동원되는 방법을 이용해 알아냈다. 그는 막 구운 1백개 이상의 비스킷에 레이저빔을 쏘아 그 빛이 반사되고 간섭을 일으키는 양상을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