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5,67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신약 1호 항암제 선플라 개발 주역
과학동아
l
199911
태양빛을 비추듯 밝은 희망을 주겠다는 뜻을 담았다.구체적으로 백금은 어떤
역할
을 하는가선플라는 흔히 백금착체 항암제로 불린다. 백금착체란 말이 붙는 이유는 분자구조의 중심에 백금 원자가 있기 때문이다. 백금은 암세포의 DNA가 복제를 하기 위해 약간 풀렸을 때 그 사이에 끼어들어가 ... ...
1. 열대기질 한대기질
과학동아
l
199911
수렵으로 얻어진 육류 중심의 음식만을 그때그때 잡아서 먹어왔다. 자연 자체가 저장고
역할
을 하게 돼 특별한 방법으로 음식물을 저장할 필요가 없고, 그럴 수도 없다. 따라서 채식 위주의 음식문화를 갖는 열대지방 사람들처럼 잉여 생산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므로 부의 축적 또한 큰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11
치명적인 조화에 있다.팔은 긴 갈고리처럼 작용해 작은 먹이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는
역할
을 하고, 더 큰 공룡에게 뛰어 올라 앞발로 찍어 매달릴 수 있게 한다. 뒷발의 두번째 발톱은 초생달 모양의 커다란 낫처럼 생겼다. 따라서 뒷발로 한번 걷어차면 사냥감은 배가 갈라지고 치명적인 상처를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11
것으로 생각돼 왔다. 그런데 이렇게 끼워놓은 돌멩이가 의외로 나무의 결실에 큰
역할
을 한다는 것이 밝혀져 조상들의 지혜에 감탄하게 한다.농학자 임경빈 박사가 쓴 ‘나무백과’에 따르면, 유실수는 가지와 잎 속에 탄소가 많고 질소가 적을 때 열매를 많이 맺게 된다. 질소는 뿌리를 통해 얻고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11
비만치료제는 주로 과도한 영양섭취를 소화계에서 흡수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역할
을 한다. 하지만 이런 약물들은 심장이상을 유발하는 등의 부작용이 많이 보고되고 있어 마음을 놓지 못하게 한다. 최근에는 체중을 줄이는 동시에 적절한 양만 먹도록 만드는 약물이 개발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 ...
회충 헤모글로빈 산소 파괴하는 매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11
그 아미노산이 사람의 헤모글로빈과 같은 쪽에 있으면 산화질소가 산소운반의 조절자
역할
을 하지만, 회충의 헤모글로빈에서처럼 그 반대쪽에 있으면 헤모글로빈은 산화질소를 이용해 산소를 분해시킨다는 것이다. 최근에 헤모글로빈의 다양한 기능들이 발견되기는 했지만 효소활성이 확인된 것은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11
기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우선 몇가지 가정을 해야한다. 첫번째는 온실기체 중 가장 큰
역할
을 하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매년 1%씩 증가한다고 가정하고 미래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생태계의 분포나 토양 특성의 분포가 21세기에도 동일하다고 가정한다.이러한 가정을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11
하기 때문이다(그림1).염소기가 촉매
역할
을 하려면 계면이 필요하다. 성층권에서 계면
역할
을 하는 것은 -80℃와 같은 낮은 기온에서 생기는 질산구름방울들의 표면이다. 여기에는 보통 구름들의 원료인 물이 거의 없다. 질산구름 방울들은 기온이 좀 올라가면 곧 증발해서 없어진다. 그러므로 질산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11
한다는 점이 보고돼 연구를 고무시켰다. 일산화질소는 궁극적으로 cGMP의 생성을 돕는
역할
을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cGMP의 분해를 막는 실데나필은 발기부전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지 않겠는가.1994년 5월 화이자사는 발기부전증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루에 한차례 실데나필을 투여한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11
딸려들어오는 방식이었다. 즉 신호 펩티드는 특정 단백질을 소포체로 이끄는 안내자
역할
을 수행하는 주인공이었다. 무사히 단백질이 소포체 안에 들어오면 신호 펩티드는 잘려나간다.1975년 블로벨 박사는 이 사실을 바탕으로 단백질의 이동 과정에 대한 ‘신호 가설’을 정립했다. ‘소포체로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