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거의 그대로 옮겨져 있어요. 주거용 방, 부엌, 가축을 기르는 공간까지 일상생활에 필요한 시설은 물론 학교, 교회 등의 집회 시설도 있죠. 또 곡식이나 포도주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도 마련돼 있어요. 심지어 죄수나 정신질환자를 가둬뒀던 곳도 함께 발견됐답니다.더 놀라운 사실은 이런 지하 ... ...
- 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설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내부 공간을 치밀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우리나라의 아파트처럼요.그렇다고 꼭 필요한 것들을 빼지는 않았어요. 바다는 수족관으로 대체하고, 스포츠와 문화 생활을 할 수 있는 시설들도 빠짐없이 넣었죠. 그렇게 1만 명 이상이 살 수 있도록 만들었답니다. 저희가 한국에 살고 있기 때문에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메이에 교수의 이론은 합금의 구조를 밝히는 데 가장 먼저 쓰였다. 합금 사진에 있는 불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분리해 원하는 정보만 관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 외에도 응용 컴퓨터 분석과 데이터 압축, 의학 이미지, 디지털 영상, 허블망원경의 해상도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 쓰였다. 2016년에 ... ...
- [과학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교수팀은 지난 2011년과 2013년에 이미 생체시계 유전자인 ‘피어리어드’가 발현되는 데 필요한 유전자 ‘트웬티-포’를 발견하고, 어택신-2가 트웬티-포를 발현시키도록 촉진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각각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어택신-2가 생체시계 유전자를 촉진시켜, 24시간 주기의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패턴의 ‘마스크’를 씌우고 자외선을 쏘는 것이다. 화학물질이나 플라스마 등으로 필요 없는 부위의 감광물 질을 제거한 후 무늬를 따라 반도체를 파내면 원하는 모양의 회로가 완성된다. 현재 반도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나노재료를 만드는 데 이 기술을 쓰고 있는데, 자외선 외에도 전자빔을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사람 면접관 돕는 인공지능으로 발달할 것향후 법적, 윤리적 논란에 대한 합의도 필요하다. 아동이 로봇의 역할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면 공개하고 싶지 않은 정보를 의도치 않게 폭로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진술이 전부 기록에 남고 로봇이 사건을 담당하는 경찰에게 ...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것은 불가능합니다(실내에서 키우는 화분은 백열등이나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해서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개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연구하는 것인데요. 한 예로 무궁화는 여름철에 무려 100일 동안 피고 지는데, 그 메커니즘이 지난해 처음으로 밝혀졌습니다. ...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개발하고, 하수 처리장에서 미세섬유를 걸러내는 등 기업과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심 책임연구원은 “1986년부터 2010년까지 미세플라스틱 관련 논문이 14편뿐이었으나, 2011년 이후로 465편의 논문이 나올 정도로 미세플라스틱 자체가 과학자들이 최근에 관심을 갖게 된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칼보다 훨씬 더 예리하다. 심지어 수술용 메스보다 더 예리해, 지금도 정밀한 수술이 필요한 곳에는 이 흑요석 날을 이용한다.흑요석을 잘 연마하면 아주 매끈한 면을 얻을 수 있어 거울로 사용할 수도 있다. 포함된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과 아름다운 패턴을 갖고 있어서 보석 또는 ...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진단을 받을 수 있었지요. 다나는 더 이상 병명을 알아내기 위해 새로운 병원을 찾아다닐 필요가 없어졌어요.로버트나 다나 말고도 전세계엔 희귀병을 앓는 어린이가 많아요. 전세계엔 희귀병 환자가 3억 명이고 어린이가 그 중 약 50%에 해당하거든요. 다가오는 2월 28일은 ‘세계 희귀질환의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