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31일 생산 방식이 가장 빠르다”고 말했다.하지만 이 모든 제약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선
7
만 3000명 이상(2012년 기준)이 암으로 사망하고, 미국에서는 연간 60만 명이 암으로 목숨을 잃고 있는 상황을 생각하면 면역치료가 암 정복의 마지막 보루가 돼주길 바라게 된다. 이미 암 치료의 패러다임은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이런 이유로 2010년부터 정부에서 양계 농가의 LED 전구 교체를 지원하기 시작했다(26~2
7
쪽 참조).닭에게는 너무 밝은 LED양계장 조명을 LED 전구로 교체하면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다. 단편적인 예가 LED 전구의 물고임 현상이다. 양계장의 잦은 소독과 물청소로 전구 안에 물이 고인 것이다. 화재나 ... ...
[매스미디어] 판을 뒤집는자, 최후의 1인이 된다!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바 있다. 홍진호 씨는 이번 시즌에도 출연해 뛰어난 수학적 사고력을 뽐냈지만 아쉽게도
7
번째 게임에서 탈락하고 말았다.한편, 지난 시즌과 달리 이번 시즌에는 시청자들 사이에 뜨거운 논란이 되고 있는 점이 있다. 바로 속임수와 편가르기, 배신이라는 심리적인 요소다. 횟수를 거듭할수록 이같은 ... ...
상속자들 공평한 분배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이렇게 되면 3명의 사람은 모두 자신이 생각하는 몫만큼의 가치를 받고서도 공평하게
7
억 원의 현금을 더 갖게 된다. 이로써 공평한 분배가 이뤄졌다. 하지만 실제 유산 상속 문제에서도 봉인된 입찰법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위의 사례에서는 세 사람이 각각 높은 가치를 둔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암흑에너지 또한 그 정체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아인슈타인이 191
7
년에 도입한 우주상수가 가장 유력하다. 우주상수는 공간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 밀도라고 할 수 있다. 우주의 가속팽창이 과연 우주상수 때문인지 아닌지를 확실하게 밝히는 것도 21세기 물리학의 가장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높이 200km 분수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위성 유로파 남반구에서 높이 200km에 이르는 거대한 물기둥이 얼음 표면을 뚫고
7
시간 이상 치솟는 현상이 발견됐다. 유로파는 지구보다 두 배나 많은 바닷물이 있어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큰 곳이다.이번 물기둥은 미국 남서부연구소(SWRI) 로렌츠 로스 박사팀이 허블 ... ...
목소리는 알고 있다 당신의 키를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목소리를 들은 뒤, 역시 목소리만으로 5명의 키 순서를 추정했다.실험 결과 전체의 62.
7
%가 목소리만으로 키 순서를 정확하게 맞추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폐에서 성문(성대의 두 막 사이의 공간)에 이르는 구간의 길이에 따라 후두에서 나오는 소리가 다른데, 이 구간의 길이는 키와 관련이 ... ...
브래지어가 유방암을 유발한다고?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브래지어를 착용했을 때 혈류 흐름이 줄고 림프 기관이 많은 겨드랑이 부위가 등보다
7
배나 더 압박된다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이 실험은 브래지어가 몸을 조인다는 것만 증명했을 뿐, 유방암을 유발한다는 근거가 될 수는 없다. 윤 교수는 “브래지어가 겨드랑이 부위의 림프 기관을 누를 수는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연구도 한다.“중성자별은 밀도가 아주 높습니다. 단단하게 뭉쳐 있는 핵보다도 6~
7
배 높은 수준이에요. 그래서 중성자별 안에서는 핵이 ‘쿼크 매터’라고 하는 (꼭 녹아 뭉친 것 같은) 특이한 상태로 변해 있지요. 그런데 어느 밀도에서 이런 상태로 변하는지 아무도 몰라요. 라온에서는 핵보다 2~3배 ... ...
[매스미디어] 중간 세계를 구하라!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새로운 수학 분야를 만들어냈다. 자신이 살고 있는 쾨니히스베르크 지역에 있는
7
개의 다리를 한 번씩만 건너서 모든 다리를 다 지나는 경로가 있을지 알아보다가 그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한편, ‘퍼즐왕’이라고 불리는 영국의 퍼즐 연구가 헨리 듀드니는 ‘거미와 파리 문제’라는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