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85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주요 관계자들이 말하는 천리안2B호 발사 성공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바다를 볼 수 있다고 했는데. 관련된 국제협력도 계획돼 있는가. 천리안2B가 한반도 외에
지구
전체(전구)를 볼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동남아나 호주 등과 협력해서 영상도 공유하고 데이터를 보정받을 부분은 받을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미국이나 유럽과도 협력을 할 계획이다. ... ...
천리안 2A, 2B 발사로 대기·해양 환경 동영상처럼 관측…여러 센서 활용한 융복합 연구 시도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늘 것으로 기대된다. 김민성 해양수산부 해양영토과장은 “천리안2B가 한반도 외에
지구
전체(전구)를 볼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동남아나 호주 등과 협력해서 영상도 공유하고 데이터를 보정받을 부분은 받을 예정”이라며 “장기적으로는 미국이나 유럽과도 협력을 할 계획”이라고 ... ...
천리안2B호 발사 성공…’동영상’ 관측으로 대기·해양 환경 감시 역량 높인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탐색하거나 양식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등 어장정보도 측정할 수 있다. 하루 한 번씩
지구
전역을 관측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돼 바다의 온도가 수 년에 걸쳐 천천히 오르내리는 엘니뇨나 라니냐 등 대양의 해양 환경을 연구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센서와 함께 미세먼지 ... ...
환경·해양관측 정지궤도위성 천리안2B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터져 나왔다. 예정대로라면 위성은 발사 25분 뒤 전이궤도에 진입하게 된다. 전이궤도는
지구
와 가깝게는 251㎞, 멀게는 3만 5822㎞ 떨어진 지점을 도는 타원궤도다. 발사 31분 뒤에는 발사체에서 위성이 분리되는 절차를 거친다. 위성에 탑재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위성 초기화가 이뤄지면 ... ...
"미세먼지 감시부터 해양재난 감시까지" … 세계 첫 환경관측 정지궤도위성 천리안2B 임무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탐색하거나 양식환경을 모니터링하는 등 어장환경정보도 관측할 수 있다. 하루 한 번씩
지구
전역을 관측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돼 바다의 온도가 수 년에 걸쳐 천천히 오르내리는 엘니뇨나 라니냐 등 대양의 해양 환경을 연구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천리안2B호는 발사 후 약 ... ...
천리안2B호 사업단장 "천리안1호 개발 때 서러움 다시 겪지 말자는 각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위성 개발 임무에 참여해 온 대표적 위성 전문가다. 1996년부터는 우주 3만 6000km 상공에서
지구
와 같은 속도로 공전하며 지상의 한 지점을 집중 관측하는 위성인 정지궤도위성의 개발을 주도해 왔다. 2018년 4월부터는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장을 맡아 그 해 말 역시 기아나우주센터에서 발사된 ... ...
[영상+]천리안2B호 개발부터 발사까지 9년의 여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
에서 3만 6000km 떨어진 곳에서
지구
의 자전 속도와 같은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돌며 한 지점을 집중 관측한다. 한반도와 그 주변 바다와 대기를 24시간 관측하며 해양 환경 변화와 대기 오염물 농도 등을 10년간 집중 관측할 계획이다. 지난 2018년 12월 발사에 성공한 천리안 2A호와 ... ...
[영상+]“준비는 끝났다” ‘천리안2B호’ 발사 D-1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천리안2B호는
지구
에서 3만 6000km 떨어진 곳에서
지구
의 자전 속도와 같은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돌며 한 지점을 집중 관측하는 ‘정지궤도’ 위성으로, 2018년 12월 발사된 기상 관측 위성 천리안2A와 위성 본체는 같고 임무를 위한 센서(탑재체)만 다른 쌍둥이 위성이다. 한반도와 그 주변 바다와 대기를 ... ...
남극 바다 얼음이 이산화탄소 바다에 가둬 빙하기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용승’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탄소가 대기로 방출되기 때문에 남극해의 변동이 전
지구
기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연구팀은 남극해가 어떤 방법으로 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후모델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8번의 빙하기와 간빙기가 교대로 일어났던 지난 78만 400 ... ...
눈 밝은 '천리안2B' 해양 연구를 부탁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기능이 추가됐다. 바다의 온도가 수 년에 걸쳐 서서히 오르고 내리는 엘니뇨나 라니냐 등
지구
규모의 해양 변화를 관찰하고 원양어선에 플랑크톤 변화 정보를 주는 새로운 활용법도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찰 방향을 바꿔 동남아 재해도 관찰할 수도 있다. 천리안1호가 임무를 마치기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