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1. 24시간 주기, 밤과 낮길이 정확하게 감지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있다.1875년부터 1915년에 이르기까지 페퍼(Pfeffer)는 강낭콩을 실험재료로 하여 연구했다. (그림3)에서는 콩과식물의 수면운동을 볼 수 있다.강낭콩은 밤 10시에 잠을 자기 시작하여 아침 6시에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또 도꼬마리는 밤 9시에 잠을 자기 시작하여 낮 2시가 되면 잠을 깬다. 분명히 ... ...
- 2. 웹 사용하면 '정보 탐험길'이 쉽게 뚫린다과학동아 l1995년 07호
- 텍스트만을 이용한다면 '이야기'등 통신 프로그램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동화상이나 그림파일이 곁들여진 정보를 원한다면 웹의 사용환경을 만들어 주는 윈속프로그램과 검색용인 모자이크 또는 네트스케이프가 있어야 한다.필요한 소프트웨어는 하이텔 천리안 아이네트기술 나우누리와 ... ...
- 부팅 안되는 컴퓨터 처리는 이렇게과학동아 l1995년 07호
- 팻말을 무너뜨리면 이웃하고 있는 팻말들이 연속적으로 무너지면서 모자이크 화법의 그림이 펼쳐진다.PC의 전원 스위치를 올리면 비슷한 도미노 현상이 얼어난다. 10여초간 진행되는 이 도미노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 10여초간의 도미노는 물리적인 기계를 논리적인 차원으로까지 ... ...
- 3. 생물, 자연주기와 생체리듬 맞춰 환경적응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이 분야연구에 많은 업적을 남기고 있다. 그가 초파리를 재료로 하여 실험한 결과, (그림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가지 발육단계에 있는 번데기의 개체군은 외계의 명 -암 주기하에서 조명이 켜지는 시기에 동조하여 우화되고 이러한 리듬은 암-암 조건 하에서도 지속되었다.자유연속리듬의 주기에 ... ...
- 암기식 벗어나 아이디어 중시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서러움을 받았다는 미술반도 있다. 학교 교과를 정할 때 음악이 선택되었기 때문에 그림을 좋아하는 친구들의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래서 그들끼리 따로 모였고, 주말이나 휴일을 이용해 데생 정물화 풍경화 등을 그린다고 한다. 이들 외에도 시그너스(천문관측반) 쥬피터(컴퓨터반) ... ...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원형질(cytoplsam)에 위치하며 핵단백질(nucleoprotein)들은 핵내에서 작용하게 된다(그림).세포성장인자인 sis, hst 등은 지속적인 세포증식을 명령하는 신호를 보내어 암을 일으킨다. 세포성장인자의 수용체인 erbB, met, fms 등은 세포의 신호전달체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티로신(tyrosine), 세린 ... ...
- 1 우주팽창속도·거리 계산, 80억년 추정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중심이 없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를 우주 팽창에 대한 허블의 법칙이라고 불린다(그림 1). 팽창하는 우주의 특성을 눈으로 보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고무 풍선을 불어서 지름 수 cm 정도의 작은 크기로 만든 후, 풍선 면에 여러 개의 점을 고르게 그린다. 그리고나서 풍선을 계속 불면서 ... ...
- 인터네트로 떠나는 우주여행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않았지만, 기존의 인터네트망에서도 온라인을 통해 특정 분야에 대한 지식을 다양한 그림과 설명, 문제풀이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곳이 있다.NASA 산하 기관의 하나인 제트 추진 연구소(JPL, The Jet Propulsion Laboratory, http://www.jpl.nasa.gov)는 우주과학과 관련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곳이다. ...
- PART3 차세대 항암제 택솔, 만병통치약인가?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약제를 만들어내는 미국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사의 상품명이 되었다). 이 항암제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우 복잡하고 특이한 구조를 가진 택산환(taxane ring)에서 사슬(side chain)이 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이러한 택산 구조는 택솔 이전에 천연물에서 보고된 바가 없었으며, 아마도 우리가 ...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적중률이 50%에 이른다는 사실은 이것들이 실제 관측에 의한 것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림 4)에 이 네 기록이 있는 시기와 금성의 등급이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모두 우연의 일치로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을 만큼 금성이 밝아지는 때와 꼭 들어맞고 있다.한편 앞서 지적하였듯이 기상조건이 좋은(즉 ... ...
이전3643653663673683693703713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