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 셔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개발된 엔데버호는 1992년 5월 7일 첫 비행에 나서 13회의 우주비행
기록
을 세웠다. 미국은 지금까지 우주왕복선을 타고 97번(한번은 실패)에 걸쳐 우주비행에 나섰다. 당초 목표와 달리 1년에 평균 5회 정도 비행한 셈. 1백번째 우주왕복선의 영예는 2000년 3월에 발사될 엔데버호가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있다는 점에 무게를 두고 있다. 그에 따르면 근래의 집중호우는 우선 양적으로 과거의
기록
에서 보기 힘든 많은 양이라고 한다. 최근에는 봄철에도 1백mm가 넘는 큰비가 온 적도 있었다. 또한 겨울철에도 춥지 않은 겨울이 16년째 계속되고 있는데, 이것을 단지 이상기상이라고 하면서 계속해서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능력으로 볼 수 있는 최대심장박동수에서 엄홍길씨는 1분간 2백3회를
기록
, 1백94회를
기록
한 황영조씨보다 오히려 높았다.수분 섭취가 필수고산에서 고소적응이 됐는지를 알아보는 가장 쉬운 척도는 두통이다. 머리가 아픈 것은 가장 전형적인 고소상태의 증거로 기압이 낮고 산소량이 적은데 따른 ... ...
3. 민주주의 앞당긴 염료의 역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닿지 않는 오지의 사람들은 천연염료를 많이 사용한다.빨간색 염료는 토지세제조 방법이
기록
으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염료는 로마 시대에 티리안 퍼플 또는 로얄 퍼플 등으로 알려졌던 자주색 천연 염료다(그림1).지중해에서 많이 자라는 뮤렉스 브란다리스라는 바다 달팽이의 내아가미샘에서 ... ...
1. '철세계'에서 환타지 소설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점이 보이기는 하지만, 이 작품은 우리나라 SF문학사에서 사실상 최초의 본격 SF장편으로
기록
될 만 하다. ‘완전사회’는 1980년대 중반에 ‘여인공화국’이라는 제목으로 재출간되기도 했다.한편 국내 최초의 과학 전문기자 중 하나인 서광운은 당시 발간되던 ‘학생과학’(1965년 창간)지에 스스로 ... ...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올라간다. 그러나 오후가 되면 혈압은 20% 정도 내려가고, 밤에 이르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
한다. 그렇다면 낮에 약을 먹기보다 아침을 대비해 잠들기 전에 복용하는 것이 심장발작을 피하는데 효과적이다.한편 동맥경화증을 일으키는 지질의 일종인 콜레스테롤은 주로 간에서 만들어지는데 ... ...
3. 위험일 경고하는 바이오리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관심을 끌고 있다. 평소 아무리 훈련을 열심히 해도 시합 당일 컨디션이 나쁘면 좋은
기록
이 나오기 어렵기 때문이다.그러나 태능선수촌에서 오랫 동안 대표선수들의 컨디션을 관리해 온 김준성 훈련지도위원은 “시합 결과가 안좋은 것을 바이오리듬 탓으로 돌리는 것은 변명거리에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갔던 것은 순전히 러시아의 수상 흐루시초프의 장난기 때문이었다. 그는 우주비행사들이
기록
을 갱신하는데 흠뻑 맛을 들이고 있다가, 뭔가 특별한 것을 해보고 싶었는데 그게 바로 여성우주비행이었다.이후 테레슈코바는 가가린만큼이나 유명인사가 됐다. 또 우주비행사 중 유일한 총각이었던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평년의 4배 이상 신장한 셈이다. 그에 비해 98년은 빙과업계에서는 '운수 사나운 해'로
기록
될만 했다. 4월의 이른 더위로 공장을 100%가동하고 비축물량을 늘렸지만 6-8월의 기온이 예년에 비해 뚝 떨어졌기 때문이다.따라서 대부분의 빙과업계에서는 날씨 예측이 가장 중요한 업무 가운데 하나다. 1년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당시 우리나라의 서운관에서도 관측을 했다. 지금도 이별의 광도변화를 정밀하게 관측한
기록
이 남아있어 과학사의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케플러의 초신성 이후 4백년 가량 지난 지금까지 우리은하 내에서 초신성 폭발 장면을 본 사람은 없다. 그렇지만 언제 어느 곳에서 이런 극적인 우주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