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따라 늘어서는 것처럼 말이다.과학자들은 활발하게 전기활동이 일어나는 인체 부위이자
생명
유지에 없어서는 안될 뇌에 주목했다. 대뇌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피질에는 약 1백억개 이상의 신경세포가 연결돼 신경망을 형성하고 있다. 각 신경세포에서 발생한 전기신호가 신경망을 통해 다른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공생이란 두가지 다른 생물체가 오랜 기간에 걸쳐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은 공생의 다른 한쪽을 ... 들어 올려보자. 그리고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그 안에 담긴 미생물 때문에 나와 모든
생명
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는 것만이라도 느껴보자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커다란 모니터뿐이다.강 교수는 지난해 KAIST에 부임하면서 미국 SGI사로부터 나노기술과
생명
기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를 기증받았다. SGI가 시가 15억원 상당의 비싼 슈퍼컴퓨터를 한국의 젊은 교수에게 공짜로 제공했다는 점과 슈퍼컴퓨터가 국내 최대 용량인 48개의 CPU를 장착해 국내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프렌츠조차 불을 내뿜는 동물에 관해선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고 한다. 그 역시 여린
생명
체가 고온의 불을 내뿜는 일은 위험하고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안정성을 위협한다는 것을 알았던 모양이다. 물론 우리 생활에서 가장 친숙한 동물인 개가 때론 무섭고 때론 귀엽게 입에서 불을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성분이 빠져나가 피부가 멍들고 쉽게 출혈이 생긴다. 게다가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면
생명
마저 위험해질 수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해피드럭이 될지 독이 될지는 적절한 처방과 복용에 달려있는 셈이다.엔도르핀은 그 구조가 마약으로 분류되는 모르핀과 매우 비슷하다. 따라서 “몸에서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상당수의 습지가 존재했다. 습지는 토양이 품고 있는 영양물질을 생물에게 제공해 많은
생명
체에게 서식처를 제공하고, 생태계가 안정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성장위주의 도시개발로 콘크리트로 채워지면서 먹이사슬의 고리가 끊어졌고 도시의 환경 정화기능이 빠르게 ... ...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자유롭게 표현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게임 캐릭터나 아바타가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는
생명
체처럼 느껴지기 시작한다면 그 상품성은 무궁무진해질 것이다.이처럼 인간의 감성을 파고드는 콘텐츠는 앞으로 더욱 매력적인 자기 표현 수단으로 각광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모든 콘텐츠가 5감 융합형 ... ...
포항공대
생명
과학과 교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무궁무진하다.식물 수송이라는 기초 연구에서 시작해 중금속 저항 유전자 개발이라는
생명
기술(BT) 영역에의 활용과 독성 물질 제거라는 환경기술(ET)에 이르기까지 그간 세간의 주목을 별로 받지 못했던 식물학 영역에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 이 교수가 보여줄 푸른 대한민국을 꿈꿔본다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논문을 발표하는 등 ‘대기만성형’ 학자로 평가된다. 그는 특히 자신의 전공분야 외에
생명
과학, 고온 초전도체, 컴퓨터 분야를 결합한 학문간 연구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지난 9월 국내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도 러플린 교수는 “물리와 생물 등 관계없어 보이는 학문들이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뱀딸기를 생약명으로 사매(蛇梅)라고 한다.서울대
생명
과학부 면역학실험실 정가진 교수는 뱀딸기에서 뽑아낸 물질이 사람과 양의 적혈구를 응집시키고 생쥐의 비장세포(임파구)를 증식시키는 현상을 관찰했다. 적혈구가 덩어리를 지었다는 것은 어떤 물질이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