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아
유익
아전
서리
이두
이토
이를지부
d라이브러리
"
이
"(으)로 총 29,006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24년에는 강원도에 아시아 최대 규모의 연어 양식 단지를 지어 대서양 연어를 양식할 예정
이
다. 지난해 5월 국립수산과학원은 대문어 알을 부화시킨 뒤 99일까지 길러내는 데 성공했다. 또 높은 수온에서도 잘 자라는 김 품종을 개발해 시험하고 있다.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방법과 습성을 샅샅
이
조사했다. 긴 시간 밴드 생활을 하며 예술계에 몸 담았던 음악가
이
기에 그는 “오랜만에 과학 공부를 많
이
했다”면서 웃으며 말했다.지금은 책과 영상으로 수많은 사람에게 가드닝 비법을 알려주는 베테랑 가드너지만, 본격적으로 가드닝을 시작한 초반에는 식물에 물 ... ...
[잡터뷰]BTS 랜선 콘서트 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정보기술(IT)기업의 선전
이
눈부시다.
이
들 기업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위상도 나날
이
... 취업합니다. 최근에는 증권, 금융업에서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많
이
필요로 합니다. 아
이
디어와 실력만 있다면 직접 창업할 수도 있습니다 ... ...
[
이
달의 책] 당신
이
선한 것은 본능
이
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이
벤트 기간 2021년 4월 1일~30일사은품 기획전 도서를 포함해 1만 5000원
이
상 구매 시 퍼즐 증정(YES24 포인트 차감) ※ 사은품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
[특집]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음성 인식 AI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AI 기술의 발달로 음성 데
이
터를 빠르게 학습할 수 있게 되면서 음성 인식 기술의 성능
이
비약적으로 향상됐습니다. 음성 인식 기술은 현재 다양한 AI와 결합해 사용되고 있죠. 음성 인식 기술의 변천사를 알아볼까요? * 보충설명목소리의 기본 주파수 :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1초에 성대를 ... ...
[기획] 개미는 빛의 경로를 따르네~!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휴~! 힘들긴 해도 저기 벌써 사탕
이
보여! 그런데 내가 망원경으로 살펴봤는데, 대장
이
가려는 길보다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는 길
이
있더라고? 얼른 대 ... 개미와 빛의 유사점을 알아낸 것
이
죠.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
이
언티픽 리포트’ 2020년 5월 21일자에 ...
[매스크래프트] #16. 학익진 전법의 일등공신 '도형의 닮음'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깜짝 퀴즈~! 100원 동전에 새겨진 인물은 누구일까요? 바로
이
순신 장군
이
에요. 1592년 일본
이
일으킨 임진왜란에서 용감하게 나라를 지킨 ... 막대기부터 일본 배까지의 거리는 10m가 됩니다. 위 그림은
이
해를 돕기 위한 예시 상황
이
라 실제 크기나 거리가 다를 수 있다는 점!유의하세 ...
코로나19도 막을 수 없는 열정 마스크 쓰고 파
이
데
이
!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2019년 뜨거운 관심 속에 ‘파
이
데
이
에 수학동아가 간다!’ 행사를 진행했죠. 그해 10월에 입사한 김 기자는 2019년 4월호에 실린 파
이
데
이
행사 기사를 읽으며 202 ... 착용도 잊지 않았답니다! 그럼 세종과 학예술영재학교 학생들
이
열심히 준비한 파
이
데
이
의 모습 ...
[그래프뉴스] 10대, 성희롱에 대해 오해하고 있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성희롱에 대한 오해와 편견
이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많
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60대
이
상 남성과 10대 남성
이
가장 크게 오해하고 있었어요.
이
... 원인
이
피해자에게 있다고 여기거나 피해자가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생각
이
대표적인 오해”라고 설 ...
[특집] STAGE 1 투표 쇼핑몰. 여러분
이
원하는 투표 방법을 고르세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4호
놓고 다시 투표를 하고, 후보가 두 명만 남게 되면 누군가는 ‘과반수’, 그러니까 절반
이
넘는 표를 받을 수밖에 없거든요. 과반수 투표제는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가 생각해낸 거랍니다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