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뉴스
"
지지
"(으)로 총 4,010건 검색되었습니다.
목발 대신 ‘외골격 로봇’ 신어 보세요
2015.04.02
종아리 근육과 평행하게 작동하면서 발이 지면에 닿은 뒤 땅을 박차고 나아가는 힘을
지지
한다. 땅을 밀어낼 때 스프링이 수축하면서 종아리 근육의 에너지 소비량을 줄여 주는 것이다. 실험 결과 외골격 로봇을 신고 걸으면 인체 에너지의 약 7%를 덜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은 적은 양이지만 ... ...
줄기세포 잘 보면 백혈병 치료 결과 보인다
2015.03.31
만드는 것이다. 가톨릭대 제공 연구팀은 연구 과정에서 백혈병 환자마다 줄기세포
지지
세포의 일종인 중간엽세포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도 새롭게 발견했다. 완치 환자의 경우 중간엽세포 수는 감소하지만 백혈병이 6개월 이내에 조기 재발하는 환자의 경우 분화되지 않은 미분화 중간엽세포가 ... ...
관절보호, 안장 높이에 달렸다
동아일보
l
2015.03.30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목을 펴야 한다. 이때 팔꿈치가 바깥으로 많이 벌어
지지
않도록 안쪽으로 모으면서 손목은 꺾이지 않도록 한다. 프로 선수들의 경우 상체를 많이 숙여 타는데, 이는 바람의 저항을 줄여 속도를 내기 위한 자세이므로 취미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이 자세를 ... ...
세포 속에도 ‘도로’와 ‘트럭’이 있다
2015.03.29
‘IRAS F11119+3257’에서 X선 영역에 존재하는 강착원반 바람을 살펴 그동안의 가설을
지지
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강착원반 바람은 성간 매질로 작용해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신선한 물의 30% 정도로 엄청난 양이다. 하지만 이 과정은 기후변화로 제대로 이뤄
지지
않고 있다. 우선 증발산량이 늘어 물이 흡수되기도 전에 공기 중으로 사라진다. 가뭄이 늘어 오랫동안 물이 공급되지 않거나, 지표면의 유속을 빠르게 하는 호우가 잦아져 물을 제대로 흡수할 시간도 부족하다. ... ...
30년 만에 풀린 ‘철사 단백질’ 의 비밀
2015.03.27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꼬여 있는 ‘철사 단백질’을 풀어야 하는데, 30년간 그 과정이 밝혀
지지
않았다. 윤태영 KAIST 물리학과 교수(사진)팀은 철사 단백질이 풀어지는 과정을 규명해 ‘사이언스’ 2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단분자형광현미경과 자기장 집게를 이용해 단백질이 풀리는 현상을 ... ...
‘저주받은 하체’ 이 유전자 때문이었다
2015.03.25
찌는 ‘하체비만’ 등으로 나뉘지만 이런 개인차가 어떻게 생겨나는지는 정확히 밝혀
지지
않고 있었다. 미국 듀크대 의대 존 라울 분자유전학 교수팀은 ‘플렉신D1’이란 유전자가 허리와 엉덩이의 지방분포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3일자에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보며 “문득 잔 다르크가 떠올랐다. 과학자들은 미코비츠를 화형시키려고 하고
지지
자들(환자 그룹)은 성녀로 추앙하고 있다”고 촌평했다. ● 사람에서는 번역 개시 코돈부터 이상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3월 9일자에는 만성피로증후군 논문 논란이 연상되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이 ... ...
DNA로 분석한 ‘유나이티드 킹덤(UK)’
2015.03.22
재료를 쌓으면서 원하는 물체의 모양을 만들었다. 이때 재료의 무게로 형상이 무너
지지
않도록 아래층이 굳는 시간 동안 기다려야만 했다. 이 때문에 5cm 높이의 물건을 만드는 데도 몇 시간이나 걸리곤 했다. 조지프 드시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는 이 방법에 획기적인 변화를 줬다. 쌓는 ... ...
뇌 연구 통합해 ‘뇌 백과’ 만든다
2015.03.19
서로 분리돼 있었다. 또 연구기관마다 서로 어떤 연구를 하는지 활발한 교류가 이뤄
지지
못하고 있었다. 뇌 백과란 말 그대로 백과사전처럼 뇌에 관한 모든 것을 정리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뇌 연구 발전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프로젝트다. 한국계 미국인 뇌과학자 서배스천 승 교수가 진행하는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