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귓바퀴
귀퉁이
모퉁이
귀구멍
귓구멍
거북선
d라이브러리
"
귀
"(으)로 총 1,266건 검색되었습니다.
허풍과 도형이 준 선물
수학동아
l
201104
싫은 거야?”도형은 사우드 아저씨가 했던 ‘아들과 서먹서먹해졌거든’ 이라는 말이
귀
에 맴돈다.“나는 우리 집이 세상에서 제일 좋아. 세계일주를 하면서 다시 한 번 느끼고 있어. 우리집이 최고라는 것을 말이야.”도형은 계속해서 이야기를 이어간다.“우리 집은 이런 대저택과는 비교도 안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04
보통 열에너지로 바뀐다. 즉, 초전도체를 자유롭게 쓸 수 있다면 오랫동안 전화하면
귀
까지 뜨겁게 달아오르는 휴대전화나 ‘윙~’ 소리를 내며 컴퓨터를 시끄럽게 만드는 CPU쿨러는 과거의 유물이 된다.전력을 손실 없이 보낼 수 있는 초전도 케이블은 미국와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이 앞장서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04
방송이 아닌데도 출연자의 대사를 굳이 자막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얼핏 생각하면
귀
로 듣고 눈으로 보니 그 장면이 더 많이 기억에 남을 것 같다. 과연 그럴까.미국 캔자스주립대 로리 버겐 교수팀은 지난 2005년 ‘CNN헤드라인뉴스’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학술지 ‘인간커뮤니케이션연구’에 ... ...
귀
로 앞을 본다
과학동아
l
201104
귀
가 발달한다’는 말이 사실일까. 선천적으로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귀
를 통해 앞을 본다는 말이 사실로 밝혀졌다.캐나다 몬트리올대 올리비어 콜리그넌 박사팀은 일반인 11명과 선천적으로 시각장애가 있는 11명의 뇌 활동을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해 비교했다. 그 결과 시각 장애인은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4
도무지 잘 모르겠어.”“….”“미니온! 지금 이 상황에 자고 있는 거야?”“조용히 하고
귀
기울여 봐. 어디서 우리에게 말하는 소리가 들리지 않아?”“여러분은 날 보고 그냥 작은 미생물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사람들은 나를 발견하고 외계생명체가 존재할 거라는 믿음이 더 커졌다구요!”“뭐? ... ...
초등 탐구토론의 메카 서울교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04
조별로 주어진 미션을 빠르게해결하려면 무엇이든 먼저 생각을 떠올린 사람의 의견에
귀
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이곳 영재교육원은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이 함께 수업을 받는다. 여러 학년이 함께 어울리면서4학년은 고학년에게 배울 수 있고, 6학년은 동생과의 건전한 경쟁 속에서 협동의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04
삭발을 한다. 두피에 어떤 외상이 남지 않았는지 살피기 위해서다. 한쪽
귀
에서 다른
귀
방향으로 메스로 칼집을 낸 뒤 가장 바깥 피부를 벗겨 젖히면 바깥에서 보이지 않았던 외상을 살필 수 있다. 그 뒤 톱으로 두개골을 자르고 열어 뇌를 꺼낸다. 두개골 밑바닥과 뇌에도 외상이 없는지 살피고 뇌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04
등 현장을 방문한 참석자들은 모두 침출수가 매몰 초반에만 나왔다는 공장장의 대답에
귀
를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 침출수가 매몰 초기보다는 몇 달이 지난뒤에야 더 많이 나온다는, 그 동안의 상식과 전혀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2001년 600만 마리 이상의 양과 돼지를 매몰한 경험이 있는 영국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04
자신을 숨기지 않고 광고하는 메시지는 간단하다. ‘나를 먹으면 죽는다!’ 경계색으로
귀
찮은 천적들을 쫓아내지만 만약 먹으려고 들이댄다면 극약 처방을 한다. 왕나비 애벌레는 실제로 몸속에 독을 품고 있다가 새나 개미가 공격하면 뿜어낸다. 왕나비 애벌레의 먹이식물인 박주가리는 잎이나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03
수다별교세포가 말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과학자들은 미세교세포의 목소리에도
귀
를 기울여 보았다. 예상대로 미세교세포도 말을 할 줄 알았다. 그러나 미세교세포는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뇌 속에 침투했을 때처럼 위급한 상황에서만 입을 열었다.이렇게 입조심을 하는 이유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