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업무
장사
사업
생업
일자리
비즈니스
d라이브러리
"
직업
"(으)로 총 748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이 감정을 가진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6
인간의 세계와 똑같습니다. 작은 빈민가 식당주인부터 대기업의 사장까지 다양한
직업
을 가진 로봇이 등장하며 심지어 결혼까지 하지요. 물론 아기를 낳을 수는 없지만 로봇 부품을 조립해 아기도 기릅니다. 두 시간 동안 로봇 세계의 재미에 푹 빠질 수가 있지요. 그런데 영화를 보고 나면 이런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12
파생상품도 있다”고 말한다.금융공학이 발달하면서 ‘콴트’(Quantative Analyst)라는 신종
직업
이 등장했다. 일반적인 증권 애널리스트는 산업동향을 파악하거나 기업 재무제표를 분석해 주식의 가치를 매긴다. 이에 비해 콴트는 점점 복잡해지는 시장의 변수들과 위험요인 속에서 수학과 과학지식을 ... ...
신장개업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511
70kg)가 같더라도 매우 활동적인 사람(정기적으로 운동을 하거나 육체적 노동을 하는
직업
)과 활동이 적은 사람(운동이 적은 전형적인 현대인)의 에너지 권장량은 3477kcal와 2726kcal로 차이가 크다.20세 성인여성의 경우 160cm의 키와 샐러리맨 정도의 활동수준을 가졌다고 할 때 체중이60kg과 50kg의 에너지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11
였다. 리서치 사이언티스트는 지도교수가 이끄는 실험실에서 연구에만 전념하는 ‘
직업
연구자’이다.그러나 서 교수는 1991년부터 지도교수의 일을 돕는 것뿐 아니라 독자적인 실험계획을 세우고 프로젝트를 수행해 나갔다. 교수가 아닌 신분이었지만 그의 비전과 능력을 보고 유능한 연구원들이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09
천직은 아니겠다고.그때부터 그의 유일한 ‘환자’는 생쥐였다. 의사라는 ‘달콤한’
직업
을 버리고 생쥐의 뇌와 씨름을 시작했다.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관장하는 뇌는 항상 궁금했던 분야였다.유전자를 조작해 돌연변이 생쥐 한 마리를 만드는 데 꼬박 2년이 걸린다. 짧아야 1년 6개월이다. ... ...
이공계를 선택하면 행복해집니다
과학동아
l
200509
준다. 중위권 학생들에게 특히 유용하다.이공계 학과에 가면 실제로 뭘 배우고 어떤
직업
을 갖게 될까. 고분자공학과와 재료공학과, 섬유공학과는 어떻게 다른 걸까. 진로 선택을 고민하는 청소년의 현실적인 고민에 대한 답도 이 책에 가득하다. 물리학, 전자공학, 축산수의학 등 대표적인 학과 2 ... ...
2. 과학이 해부한 댄싱퀸의 몸
과학동아
l
200509
일반적인 표준 체중보다 10~15% 적은 수준이다. 미국건강통계센터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직업
발레 무용수는 일반 여성보다 5.0cm 크고 3.5kg 더 말랐다. 키와 몸무게만 차이나는 것은 아니다. 상체가 길거나 다리가 짧으면 안된다. 다리가 길더라도 무릎 위가 길면 좋지 않다. 종아리가 쭉 빠져야 한다는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08
처음 보는 얼굴인지, 닮았는지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뇌 전방이 활성화되면서 이름,
직업
등의 신상정보를 얼굴과 연결시킨다.뇌의 이런 과정은 얼굴인식기술에도 응용된다. 현재 얼굴인식에 사용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눈 사이의 거리, 눈썹 사이의 거리, 입 크기, 눈과 코가 이루는 각도 등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
과학동아
l
200508
진로를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려는 의지다. 스트롱 진로탐색검사에서는 자신이 갖고 싶은
직업
에 대해 관심을 갖고 탐색하고 있는지에 대한 ‘진로준비도’를 진로선택을 위한 중요한 항목으로 꼽고 있다. 신종호 교수도 “자신이 특정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적성검사 결과에 연연하지 말고 그 ... ...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08
불투명한 장래(24.8%), 중·고등학생의 이공계 기피(17.9%)가 그 뒤를 잇는다. 응답자들은
직업
선택과 대우에서 대부분 만족한다고 대답했지만 높은 사회적 지위를 누리지는 못한다고 생각하고 있다.이공계 현장에서도 남녀차별의 문제가 대두됐다. 이공계에서 남녀차별을 어느 정도 느끼는지 묻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