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테이지
배경
장소
공연장
영역
범위
스태이지
d라이브러리
"
무대
"(으)로 총 71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지금 베이징은 과학전쟁 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개막식이 열리는 8월 8일 오후 8시 전후의 날씨다. 현대와 전통이 어우러지는 멋진 개막식
무대
를 전 세계 67억 명에게 보여주고픈 중국으로서는 이날 비가 내려 개막 축하 프로그램이 일부라도 취소된다면 낭패다. 그래서 준비한 비장의 무기가 바로 인공강우다. 중국의 인공강우 기술은 세계 최고 ... ...
별이 쏟아지는 해변으로 가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밤하늘에 펼쳐진 드라마여름철 밤하늘은 ‘스타’들의 시끌벅적한
무대
다. 특히 수많은 별들이 하늘을 화려하게 수놓은 듯 펼쳐진 은하수를 보는 일은 여름밤 놓치기 아까운 선물이다.피서지의 여름 밤하늘은 TV 극장이다. 밤 9시 무렵 동남쪽 밤하늘로 채널을 맞춰보자. 이 곳에선 매일 드라마가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겨루는 자동차 경주는 1890년대에 시작되었습니다.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무대
였기 때문에 자동차 회사들은 심혈을 기울여 경주용 자동차를 만들었습니다. 비행기가 시속 200㎞를 돌파하기도 전인 1911년에 벤츠 사는 이미 자동차로 시속 226㎞를 돌파할 정도였지요.자동차가 빠른 속도로 ... ...
2008 중학생과학올림피아드로 오라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어은중 박준태 군, 서울 중동중 전호선 군, 경기 내정중 조현철 군은 한국을 대표해 세계
무대
에서 한국 중학생의 끈끈한 팀워크를 보여줬다. 이들은 IJSO에서 한팀을 이뤄 물리, 화학, 생물이 통합된 실험문제를 풀었다. 혼자서 풀거나 팀원 간 의견교환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시간 안에 풀지 못할 만큼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자외선은 파장이 290~400nm 정도로 짧으며 사람 눈에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블랙라이트를
무대
에 비춰도 주위는 어둡게 보인다. 그러나 형광 안료를 바른 물체에 블랙라이트를 비추면 안료가 자외선을 흡수한 뒤 그보다 파장이 긴 가시광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녹색이나 청색, 황록색 같은 선명한 색을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채 노래를 따라 부르던 관객들 사이로 열심히 가족의 얼굴을 찾던 기억도 난다. 아빠가
무대
에 선 모습을 처음 보는 아이들에게 “봤지? 아직도 내 노래를 좋아하는 사람이 이렇게 많아”라고 외치고 싶었다.그동안 ‘작곡가 조진원’이라는 타이틀이 쑥스럽고 또 너무 오래 전 얘기인 것 같아 ... ...
활활~ 얼음에 불이 붙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명예를 걸고 말이지요!”여전히 자신감에 넘치는 코파필드가 허락하자 닥터고글은
무대
로 나가 정체불명의 얼음덩어리를 관찰하기 시작한다. 그리고는 불꽃 근처에서뭔가를 채집해 제트에게 분석하게 하는데….“닥터고글, 의심이 너무 많군요. 그냥 믿으세요! 나는 세기의 마술사 코파필드라구요. ... ...
2007 대한민국 학생 창의력 올림피아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기회를 얻었고, 입상한 친구들 모두 상장과 메달, 상금을 받았습니다.행사 기간 동안
무대
주위에는 댄스로봇 시연회와 창의력 지수 검사 등 다양한 이벤트가 열려 관객들도 재미있는 체험을할수있었답니다. 다같이 행사장을 둘러볼까요 ... ...
군사로봇 짱 뽑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8월 영국 월트셔 지방에서 군사로봇 경연대회가 열려요. 이 대회는 도시를
무대
로 적군을 퇴치하는 최고의 군사로봇을 뽑아요. 대회 이름은‘그랜드 챌린지’로 현재14개 팀이 최종 본선에 진출했어요. 영국 국방부가 주관하는 대회예요.이번 대회에는 적군의 위협을 추적하고 감시하는 신기술 ... ...
무한속도의 비밀은 '칩'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받았다. ISSCC는 ‘황의 법칙’이 무어의 법칙을 뒤엎은 학회로 새로운 IT 기술의 데뷔
무대
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도록 돕는 칩을 설계해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선정됐다.김 교수팀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3차원 그래픽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