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삶이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2년 반가량 주말이나 저녁 시간을 쪼개 연구에 매진했다. 이 간절한 끈기 덕인지 2017년 우주생물학 분야의 젊은 연구자에게 NASA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상(Astrobiology Early Career Travel Award)을 받았다. 그렇게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한 달 동안 방문 과학자로 지내며 실험을 배웠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 아폴로 미션, 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착륙한 탐사선이 바로 아폴로 11호랍니다. 이후 아폴로 17호까지 발사되었고, 총 12명의 우주인이 달을 탐험했어요. 달 달은 지구 주변을 돌고 도는 유일한 위성이에요.위성은 다른 천체의 주변을 도는 천체를 가리켜요.달의 중심을 지나 가로지르는 길이인 지름은 약 3400km!서울과 제주도를 네 번 ... ...
- [만화 뉴스] 순식간에 합쳐지는 물방울, ISS에서는 느리게 합쳐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지구에서 물방울은 크기가 커질수록 중력의 영향으로 모양이 찌그러집니다. 그런데 우주에서는 중력이 작아서 동그란 물방울을 크게 만들 수 있어요. 그만큼 물방울의 질량도 커져서 천천히 움직이며 합쳐지는 과정을 잘 관찰할수 있죠. 관찰 결과, 두 물방울이 합쳐지며 둘 사이에 다리가 생기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등장했습니다.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과학 영상 채널이죠. 이 채널에서는 우주와 테크, 환경과 일상 속 과학까지 총 네 가지 주제에 해당하는 영상들을 다루고 있어요. 소개할 영상은 꾸물꾸물 괴물처럼 움직이는 슬라임! 플라스틱과 쇳가루를 섞어 자석으로 움직일 수 있다고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온라인 세상에서 친구 사귀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우주와 지구의 평화를 지키는 ZEM FIVE의 리더 정백이는 즐겨 방문하는 온라인 모험가 카페에서 평소 좋아하던 인디아나 독스를 만났어. 짱팬 정백이는 인디아나와 친해지고 싶은데, 일리가 보기엔 둘의 대화에 이상한 점이 있다지 뭐야? 친구는 소중한 존재예요. 놀 때, 공부할 때, 취미생활할 때 ... ...
- [Space Math] 세밀한 제어 기술로 승부한다! 우주발사체 기업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한층 더 어렵다. 우리나라는 아직 로켓 재활용 수준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도해 성공한 누리호가 있고, 여러 뛰어난 스타트업이 자체 로켓 기술을 키우고 있다. 앞으로 이들의 도전 횟수가 많아지면서 여러 실패가 어쩔 수 없이 나올 것이다. 누리호도 1차 발사 때는 마지막 ... ...
- [뉴스&인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단단한 벽돌로 만들었다. 3D 프린팅된 달 표토 벽돌이 우주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고 우주 건축 프로젝트에 적합한 후보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연구 결과 1200℃에 구운 벽돌은 지구 대기의 2억 5000만 배에 달하는 압력을 견딜 수 있었다. 달 뿐만 아니라 화성의 지질자원 또한 연구 대상이다. 미국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일, 그 이상이라도 상관없었다. 미래의 내가 그곳에 있다면. 시간을, 세상을, 우주를, 아니 그 무엇을 건너서라도.너에게 갈게.그렇게 생각하며 계단을 한 발, 한 발 올랐다.나나. 내가 너에게 갈게 ... ...
- [가상 인터뷰] 버려지는 탄소섬유, 태양광 설비로 제2의 인생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태양광 설비로 제2의 인생 시작! 자기소개 부탁해!안녕, 나는 탄소섬유라고 해. 항공우주 비행체의 몸통, 자동차 차체, 스포츠 분야 등에서 활용되고 있지. 나는 수명을 다해 폐기 처분이 될 예정이었지만, 지금은 이렇게 해상 태양광 부력체로 변신했어. 작년 12월 13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
- [Rethinking] - 제1화 - 방정식엔 왜 x를 사용할까?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보기로 했다. 하나 이상의 미지수가 있는 등식인 방정식은 아주 작은 것부터 넓은 우주까지 설명해낸다. 방정식에서 가장 중요한 문자가 미지수 ‘x’다. 이 x는 언제부터 왜 사용했을까? 첫 번째 질문, x를 언제 처음 사용했을까? 수학자 : 제가 아는 몇 가지 설이 있어요. 중세시대에 아랍에서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