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 [특집] 다녀왔다! 상온얼음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다이아몬드 두 개가 빛나고 있었지요. “‘다이아몬드 앤빌 셀(DAC)’이라 불리는 장치예요. 다이아몬드 사이에 물을 넣고 강한 힘을 줘 다이아몬드로 물을 눌러주면 강한 압력에 의해 상온에서도 얼음이 만들어져요.”다이아몬드가 쓰이는 이유는 다이아몬드가 고압을 버틸 만큼 압력에 강한 ... ...
-
- [통합과학 교과서] 너의 목소리를 들려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 O , X ) 에필로그꿀록 탐정은 뱀파이어의 연인에게 초음파를 들을 수 있는 장치를 건넸어요. 그리고 뱀파이어의 아름다운 세레나데가 시작됐죠.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옆에서 꽃잎을 뿌리며 열심히 춤을 췄어요.“푸하학!”별안간 뱀파이어의 연인이 웃음을 터뜨렸어요.“제 사랑의 ... ...
-
- [헷갈린 과학] 전기에도 종류가 있다? 직류VS교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훨씬 단순하게 만들 수 있죠.미국의 발명가인 토머스 에디슨이 처음 상업적 전력 수송 장치를 개발했을 때 쓴 전기도 직류였습니다. 하지만 전기를 발전소에서 가정으로 보내는 송전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크다는 직류의 문제가 발견됩니다. 송전하려면 전압을 높여야 하는데 직류는 전압을 바꾸기 ... ...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9월 9일 그레이스 호퍼, 최초로 컴퓨터 버그를 잡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사용하고 있었죠.오후 3시 45분, 마크 II가 멈춘 이유를 찾던 그레이스 호퍼 팀은 기계 장치 사이에 끼어 죽은 나방을 발견했습니다. 마크 II가 보관된 방에는 방충망이 없어서, 밤늦게 일을 하고 있으면 세상의 벌레란 벌레는 모두 불이 켜진 컴퓨터실로 날아들었어요. 날개 길이가 무려 10cm에 달하는 ...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로봇은 예쁜꼬마선충의 신경망을 회로로 재현한 로봇입니다. 그러니까 로봇의 중앙처리장치(CPU)는 예쁜꼬마선충의 뇌고, 바퀴는 근육이 되는 거예요. 어떻게 이런 기술이 가능할까요? 스마트폰으로 달 잘 찍는 방법 조회수 : 31.4만 회채널명 : 괴짜tv (구독자 수 : 8.93만 명)달, 달, 무슨 달~, ... ...
-
- [4컷 만화] 자고 일어났더니 손가락에 전기가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나오는 땀으로 전력을 만드는 장치가 개발됐어요. 이 장치는 반창고처럼 생겨 손가락 끝에 감싼 채 잠만 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지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나노엔지니어링학과의 조셉 왕 교수팀은 이같은 내용의 연구를 7월 13일 발표했어요.이전까지 개발된 웨어러블 ... ...
-
- [기획] 허블우주망원경 또 고장나면 어쩐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됐죠. 하지만 2018년, 망원경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만드는 장치인 자이로스코프에 이상이 생겨 허블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했어요. 또 올해 두 번의 고장이 있었죠. 3월에 소프트웨어 문제가 발생하고 세 달만인 6월, 다시 고장 난 거예요. NASA 연구원인 Nzinga Tull은 “앞으로도 ... ...
-
- [기획] 허블 우주망원경 이번에도 부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많이 쓰면 전원에 과부하가 걸려 두꺼비집이 내려가듯이, PCU가 꺼진 거예요. 하지만 PCU 장치를 지상에서 원격으로 다시 켤 수는 없어요. 대신 NASA팀은 허블 우주망원경에 여분으로 설치했던 PCU를 켜서 문제를 해결했지요. 덕분에 허블 우주망원경은 다시 우주를 바라보는 인류의 눈으로 작동할 수 ... ...
-
- [특집] 과연?! 장영실의 손이 닿았을까? 물시계와 천체시계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부품이지요.” 물시계는 정해진 시간 동안 흐르는 물의 양을 바탕으로 시간을 재는 장치예요. 흐른 물이 모이는 공간인 ‘파수호’에 물이 차오르면 물에 뜨는 재질로 만들어진 ‘부전’이라는 부품이 서서히 떠올라요. 부전은 떠오르면서 위에 설치된 구리 구슬을 건드려 떨어뜨리고, 떨어진 ... ...
-
- [특집] 눈송이를 들여다본 사람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그 매력에 빠졌지요. 눈 결정을 찍기 위해 현미경에 카메라를 연결한 독창적인 장치도 만들었어요. 그리고 19살에 역사상 최초로 눈 결정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어요. 그는 “세상에 똑같은 눈 결정은 없다”는 말을 남겼답니다. 나카야 우키치로(1900~1962)일본의 과학자 나카야 우키치로는 1936년에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