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be
고무관
필터튜브
필터
여파기
여광기
d라이브러리
"
튜브
"(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연료전지는 에탄올과 메탄올, 가솔린, 천연가스 등 탄화수소화합물이나 탄소나노
튜브
를 연료로 하는 일종의 ‘움직이는 소형 발전기’다. 탄화수소화합물에서 수소를 뽑아낸 뒤 공기 중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를 얻는 전기분해 개념이다. 환경 오염이 없고 크기도 작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거미줄을 만드는 거미의 유전자를 암소의 세포에 이식했다. 유전자가 이식된 세포를 긴
튜브
벽에 부착한 후 한쪽 끝에 성장인자를 투여하자 다른쪽 끝에서 거미 실크를 뽑을 수 있었다. 하지만 뽑아낸 거미 실크는 질기기는 했지만 자연의 거미 실크만큼 강하지 못했다. 상업적인 측면에서도 이 ... ...
우주로켓의 선조 V-2 부활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발사돼 1단 로켓은 낙하산으로 회수되고2단 우주선은 1백km까지 상승한 후 낙하산과
튜브
를이용해 발사장에서 24km 떨어진 바다에 착수하게 된다. 캐나다 화살의 실제크기 모형은 2002년 4월에 처음으로 공개됐고 현재는 1단의 로켓엔진을 시험하고있다. 지난 6월에는 캐나다 화살에 탑승할 6명의 ... ...
1 나노 고지 달성 위한 베이스캠프, 나노팹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제작하고 필요한 원천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나노구조체, 나노자성체 및 나노
튜브
형성과 나노물성, 양자선, 양자점 연구 등 나노분야 원천기술의 연구개발을 지원한다.이를 위해 크게 3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장비가 구축된다. 첫째는 소자와 소재 실험실에서 제작되는 시료들을 ... ...
초고층 아파트를 지탱하는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즉 외벽에 막힘 없는 창의 설치가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외곽에 기둥을 두른
튜브
구조나 X자 브레이싱 등은 외벽 창문이 작아지거나 시야가 막히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주거공간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공간 마련 위한 자연발생적 추세초고층 건물은 그 자체가 거대한 규모이기 때문에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극명하게 보여줬습니다. 모두가 줄줄이 강물 속에 빠져 죽는 상황에서 맨 마지막에
튜브
를 두르고 강물에 뛰어드는 얌체 나그네쥐를 보십시오. 이 배신자는 저런 상황에서 가장 큰 이득을 챙기는 놈이 되지 않겠습니까. 생명의 진화에서 배신의 유혹만큼 달콤한 것은 없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협동의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이뤄진 나노선(nanowire)은 지름이 수-수십nm 정도인 아주 가는 선이다. 속이 비어있는 나노
튜브
와 달리 안이 채워져 있다. 구성성분에 따라 고유의 금속성 또는 반도체 성질을 보이기 때문에 집적도가 아주 높은 차세대 전자회로에 쓰일 수 있다.지름 20nm 나노선 합성현재 김 교수 연구실에서는 반도체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공생에서 자본의 시녀로누더기를 기운 듯 봉합된 시체의 온 몸에는 액체가 공급되는
튜브
와 전선이 연결돼 있다. 폭풍이 쏟아지는 밤, 언덕 위 낡은 성은 삐걱거리며 비명을 지른다. 번개가 성탑의 꼭대기를 때리면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피조물은 잃었던 생명을 되찾고 눈을 뜬다. 영화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할 수 있다.
튜브
가 한국형 재난 블록버스터라는 간판을 내세울 수 있을까. 혹시
튜브
는 할리우드 영화를 닮기 위한 문화적 사대주의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자본이 취약한 우리 영화는 상대적으로 ‘액션과 특수효과’면에서 할리우드의 영화를 따라갈 수 없다. 그렇다면 ‘한국형 재난 ... ...
1 지구에서 등정하는 화성의 올림푸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베이스캠프가 될 ‘부메랑’이다. 중앙을 기점으로 양쪽으로 실린더 모양의 기다란
튜브
공간이 뻗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부메랑은 미항공우주국(NASA)의 길버트 에버솔트의 자문을 얻어, 실제 화성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 졌다. 부메랑은 탐사팀이 바깥으로 나가기 위해 거쳐야 하는 압력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