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인"(으)로 총 9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체형과 육질이 변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소와 돼지는 지방(마블링, 삼겹살)을 좋아하는 한국인의 입맛 때문에 지방질의 사료를 많이 먹는다. 담백한 맛을 좋아하는 미국과 유럽은 지방질 대신 단백질이 많은 사료를 준다.천수를 누릴 수도 없다. 가축은 다 크기 전 경제적으로 가장 이익이 되는 ... ...
-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중국의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산의 3분의 2가 북한 국경 내에 속해 있다. 그럼에도 한국인들에게 백두산은 영원히 일등 산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본고는 IBM에서 공개한 보도자료와 기즈맥의 분석을 기초로 해 한국 학생들의 영어교육을 위해 문장과 내용을 새롭게 수정 및 편집한 글입니다 ... ...
- 금혜원 사진전과학동아 l2011년 05호
- 종교 계율에 맞는 정결한 음식을 부르는 이름이다.하지만 이슬람에서 금하는 돼지고기는 한국인이 즐겨먹는 음식이다. 영양학이나 위생학의 관점만으로는 이런 문화적 차이를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다.더글러스는 더러움이라는 개념에는 상징적으로 정결하지 못한 것, 즉 부정(不淨)의 의미가 ... ...
- Part 3.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여성 수학자수학동아 l2011년 03호
- 보장해 주는 교수인데, 종신교수가 되기 위한 심사는 매우 엄격하고 철저하다. 김 교수는 한국인 여성으로는 처음 MIT 종신교수로 임용됐다.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로 꼽히는 ‘힐베르트의 23개 난제’중 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공을 세웠다 ... ...
- 입자 가속기 삼국지과학동아 l2011년 03호
- Heavy Ion Collider)’도 중이온 가속기다. 규모로 따지면 LHC가 세계 1위, RHIC가 2위다. 최근 한국인 과학자 두 명(유인권, 이창환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이 속해 있는 국제 연구팀 ‘스타(STAR)’가 RHIC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우주가 처음 태어나던 빅뱅 당시의 과정을 밝혀내 국내에서도 화제가 됐다. 12개국 ... ...
- 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충분하다. 이들은 생각보다 우리와 가깝고 비슷하며, 심지어 조상일 가능성도 있다. 한국인도 예외는 아니다.[네안데르탈인(Homo Neanderthalensis) 지금의 중부 및 남부 유럽부터 동쪽으로는 시베리아 남부 오클라드니코프 지역까지 살았던 인류의 친척.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가장 가까운 시기에 ...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한국인의 게놈을 직접 비교하는 방법이다. 언젠가는 이 방법을 이용해 직접 한국인 안에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날도 올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있다. 이미 나와 있는 약을 한국인의 단백질에 맞춰 개량할 수도 있다. 이 지도는 ‘한국인 맞춤 의학’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연세프로테옴연구원은 질량 분석 기술을 이용해 다른 분야에서도 성과를 올리고 있다. 지난 2005년에는 실험용 미생물인 ‘예쁜꼬마선충’의 수명을 연장하는 ... ...
- 눈속임 잘 하면 '킹카'과학동아 l2011년 01호
- 것도 사실이다. 나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옷의 모양과 색깔을 과학적으로 찾을 수 있을까.한국인은 여름 색이나 가을 색 어울려 사람의 체형을 분류하는 기준은 분야마다 다르다. 의류학계에서는 정면에서 보이는 몸의 윤곽을 기준으로 키와 어깨너비, 허리너비, 엉덩이너비의 비율로 나눈다. 체형과 ... ...
- 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수상한 물질들은 여러 차례 노벨상의 영예를 안았다.흥미롭게도 초고체와 다강체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발견했거나 발전을 이끌고 있다. KAIST 물리학과 김은성 교수는 지난 2004년 초고체의 존재를 처음 보고했고, 같은 해 미국 럿거스대 물리학부 정상욱 교수와 인하대 물리학과 허남정 교수는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