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세로"(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진 올릴때.. 세로사진의 방향성 테스트입니다.포스팅 l20140227
- 사진 올릴때.. 세로사진의 방향성 테스트입니다. ...
- 어과동 자연다큐멘터리 - 도니는 들판을 달리고 싶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1125
- 차디찬 겨울날. 북한산 중턱. 한 멧돼지 가족이 상수리나무 아래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올 여름에 태어난 아기 멧돼지 ‘도니’와 가족들입니다. 도니는 노란빛을 띤 세로줄무늬가 아직 몸에 남아있습니다. 도니 오른쪽은 어미 멧돼지. *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23호(2011년 12월 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이렇게 해 보세요]양력연구실을 '후후' 불면 어떤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00412
- 잘 안올라간다구요? 섭섭박사만의 방법을 살짝 알려줄게요. 1. 날개 윗면의 세로로 접힌 부분이 잘 꺾이도록 접어 주세요. 2. 날개를 연결한 실이 팽팽한지 확인하세요. 3. 입김을 불 때는 양력연구실을 평평한 곳에 두고 불어야 해요. 손바닥 위에 올릴 때는 수평으로 올려두고 불어야 한답니다. 양력 연구실의 날개는 유선형 모양이에요. 베르누이의 ...
- 민물고기 별별랭킹쇼어린이과학동아 l20090527
- 많은 213종 안에서 서로를 닮아서 오해를 받는 친구들이 꽤 많답니다. 우리는 세로 본능 삼형제! 누가 붓으로 휙 그은 것처럼 검은 세로 줄무늬를 갖고 있는 새미, 돌고기, 연준모치예요. 새미는 검은 줄무늬가 주둥이에서부터 꼬리까지 이어져 있어요. 연준모치는 새미처럼 검은 줄무늬 위에, 황색 줄이 함께 나 있답니다. 먹성이 좋아서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1)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있다는 증거다! {BIMG_c11} 분석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착시 현상에 불과하다. 1970년대에 이 사진을 찍은 바이킹 1호의 사진기는 가로세로 250m의 지역을 점 하나로 인식했다. 하지만 최근 화성 궤도 정찰선이 고해상도 사진기로 다시 찍은 결과 사람의 얼굴과는 전혀 다른 모양을 하고 있다는 게 밝혀졌다. 사람에게는 특별한 형체가 없는 물 ...
- 한글의DNA를 찾아서(1)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말소리를 쓰기 위해서는 ㅿ, ㆍ,ㆆ,ㆁ가 필요했지만 지금은 사용하지 않거나 다른 글자로 대체됐기 때문이야. 또 두 글자 이상을 가로, 세로로 이어 쓴 ㆅ, ㅸ, ㅹ도 현재는 쓰지 않아. 자연 환경에 맞는 생물이 살아남듯 언어 환경에 필요한 글자는 살아남고 쓰이지 않는 글자는 사라진 거지.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진 소리도 있단다. 한글은 처음에 중 ...
- 한글의DNA를 찾아서(2)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쓴 글자 하나가 하나의 음절이라 쉽게 읽을 수 있어. 또 영어를 세로로 쓰면 읽기 불편하지만 한글은 음절로 모아쓰기 때문에 가로나 세로로 적어도 문제없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단다. 컴퓨터가 알아듣기 쉬운 한글 한글은 소리와 문자가 1:1로 대응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배우기 쉽다고 했지? 이런 장점은 컴퓨터에도 적용돼. apple[애플 ...
- 아기돼지 삼형제의 첨단빌딩 프로젝트(1)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동물로 알려져 있는 흰긴수염고래(100톤)가 5400마리나 올라가 있는 것과 같아.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고강도 콘크리트! 가로세로 1㎝의 면적 위에 몸무게 70㎏인 남자 11명이 동시에 올라가도 끄떡없을 만큼 단단한 고강도 콘크리트로 버즈 두바이를 튼튼하게 짓고 있단다. {BIMG_r10}3 온도 극복하기 높이가 800m나 되면 건 ...
- 산왕거미의 사냥터, 거미줄 그물어린이과학동아 l20080612
- 큰그림 보러가기 산왕거미는 나뭇가지 사이에 둥근 모양의 그물을 치고 살아요. 작은 곤충들이 이 그물에 걸리면 꼼짝 못하지요. 그물이 끈적끈적해 곤충의 몸이 달라붙기 때문이에요. 그렇다고 거미줄 전체가 끈적끈적한 것은 아니에요 ... 먼저 세로줄을 쳐요. 그리고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동심원을 그리며 가로줄을 치지요. 산왕거미가 그물 위를 기어다닐 ...
- 질병은 근육에게 물어 봐~어린이과학동아 l20080214
- 한국천문연구원에서도 제가 지나가는 모습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하더군요. 사진에서는 작은 점처럼 보이지만, 저는 가로 610m, 세로 150m로 길쭉한 형태로 꽤 크답니다. 달보다 멀게 지나갔다니 다행이네요. 그런데 소행성이란 게 정확히 뭔가요? 혜성과 같은 건가요? 소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해서 돌고 있는 작은 천체를 말해요. 지구 같은 ...
이전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