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8,53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린터처럼 찍어내는 초고감도 바이오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8.26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화학 및 나노기술 분야
국제
학술지 ‘ACS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 인터페이스(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에 게재됐다. 탄소나노튜브(CNT) 기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는 전기가 잘 통하고 작은 물질에도 예민하게 반응해, 아주 미세한 ... ...
머리에 빛 쪼이니 술마시는 욕구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6
한 임상시험 연구결과가 24일부터 27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열린 한국뇌신경과학회
국제
학술대회에서 공개됐다. 뇌파와 광자극을 활용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정동일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경두개광자극(tPBM)으로 알코올에 대한 ... ...
국가석좌교수제 신설·박사후연구원 지위 명문화…'인재'에 사활 건 이재명 정부 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25.08.26
'명예교수규칙' 개정을 추진한다. 전략적으로 해외 우수인재 유치에도 나선다.
국제
학술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해 유치 대상을 탐색하고 세종펠로우십, 브레인풀, 최고급 AI 인재 유치 사업 등을 통해 인재에 맞춤형 지원을 한다. 이후 전주기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비자·주거·교육·취업 등을 ... ...
세계 최초 돼지 폐 사람에 이식 성공…9일간 기능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8.26
이식하고 9일 동안 장기와 생명 유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25일(현지시간) 게재됐다. 이식 과정에서 환자에게는 몸속 면역체계가 이식된 폐를 공격하지 않도록 강력한 면역억제제가 투여됐다. 면역억제제는 우리 몸의 방어 체계를 일시적으로 ... ...
인공 광합성에 더 가까이…전하 저장하는 분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두 개의 양전하와 두 개의 음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특수 분자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케미스트리(Nature Chemistry)'에 2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런 자연 광합성의 원리를 모방하는 인공 광합성 연구를 진행했다. 인공 광합성은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나 ... ...
“AI, 논문 저자·검토자 될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점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25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한국뇌신경과학회 28회
국제
학술대회(KSBNS 2025)에서 강연에 나선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편집자들은 논문 발표 과정에서 AI 활용에 대한 구체적 기준에 대해 이처럼 밝혔다. 이들은 “AI는 문법 교정이나 문체 ... ...
[의학바이오게시판]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9월 22일부터 시작 예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EAES는 유럽을 중심으로 전 세계 복강경 및 로봇 수술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권위 있는
국제
학회다. 매년 로봇 수술 분야의 혁신적 연구 중 가장 뛰어난 한 편에 대해 ‘로봇 수술 최우수 연구상’을 수여한다. 서울대병원 췌담도외과팀은 ‘췌장암에서 로봇 및 개복 췌십이지장절제술의 장기 치료 ... ...
난청 일으키는 돌연변이, '원샷' 유전자가위로 교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한 유전자가위를 개발하고 청력 및 청각세포 회복 효과를 확인한 뒤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25일 밝혔다. MPZL2 유전자의 돌연변이인 ‘c.220C>T’는 DFNB111형 감각신경성 유전성 난청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DFNB111형 감각신경성 유전성 난청은 ... ...
김재경 IBS CI, 세계적 권위 응용수학 학회 최연소 기조강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세계적으로 꾸준히 주목받았다. 이번 초청은 김 CI가 축적해온 학문적 성과와 영향력을
국제
적으로 인정받고 한국 수학계가 세계적 위상을 확립하는 상징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김 CI의 이날 강연 주제는 '수학적 모델링과 인공지능(AI)의 시너지: 시계열 분석을 통한 인류 건강 문제 해결(Synergy ... ...
신축성·색 재현력 모두 잡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UNIST) 교수팀, 김대형 서울대 교수팀과 공동연구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주목받는 양자점(Quantum Dot)과 고무처럼 늘어나는 신축성 고분자를 화학적으로 직접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