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705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사능 노출 여부, 누구나 불빛으로 즉시 판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모여들기만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복합구조물질을 이룬다. 수십 나노
미터
(nm, 1nm는 10억분의 1
미터
) 크기의 복합구조 물질은 외부 환경에 따라 구형이나 원통형의 구조체로 변형된다. 구조체 모양에 따라 빛의 세기가 달라진다. 에너지의 크기가 100nm 파장 이하로 낮을 때도 감응한다 ... ...
622조원 투입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변모한다. 정부와 기업은 메가 클러스터에서 HBM 등 최첨단 메모리 생산과 2나노
미터
(nm·10억분의 1
미터
) 이하 공정 기반 시스템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650조원의 생산 유발효과를 전망하고 있다. ● 핵심 인프라 적기 공급·투자 지원 강화 메가 클러스터의 인프라와 ... ...
미국·일본도 쉽지 않은 달 착륙…2032년 '한국 달 착륙선'은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것이라 전망했다. 예를 들어 달 먼지 분석장치의 경우 주관부처는 제시안인 30마이크로
미터
(㎛, 100만분의 1
미터
)로도 충분히 과학기술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전문가들은 이 수치 미만의 특성정보 없이는 달 먼지 제거 등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다는 근거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 ...
고령자도 북한산 등반 거뜬...웨어러블 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북한산 영봉까지 등정하는 '웨어러블 로봇 챌린지'를 수행했다. 목표 지점까지 해발 604
미터
로 왕복 3시간이 걸리는 코스다. 그 결과 착용자는 흙길과 바위길, 경사로와 평지가 반복되는 다양한 보행 환경에서 중간 배터리 교체나 개발자의 개입 없이 로봇의 근력 보조로만 등반을 마쳤다고 밝혔다. ... ...
[과기원NOW] UNIST,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 포스텍은 김석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표면의 형태나 구조에 상관없이 마이크로
미터
(μm) 규모에서 물질을 전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온도에 따라 물체 형태를 기억했다가 다시 복원하는 SMP로 스탬프를 만들었다. 전사 물질 표면이 평평하지 않고, 거칠거나 3차원 구조를 ... ...
인류 조상 동아시아로 이주한 까닭은 '장맛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찾아온다. 2021년 연구팀은 중국 황토 고원의 경사면 부근의 퇴적물을 분석했다. 44
미터
에 이르는 경사면을 따라 퇴적물을 삽으로 퍼내 2066개 토양 샘플을 채취했다. 샘플 분석 결과 장맛비로 습한 조건이 형성된 토지에서 풍부하게 검출되는 것으로 알려진 자성 입자를 검출할 수 있었다. ... ...
생수 1리터 용기에 플라스틱 입자 약 24만개 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점점 늘어갔다. 기존에 관찰할 수 있었던 가장 작은 플라스틱 조각의 크기는 1마이크로
미터
(㎛·백만 분의 1m)였다. 이번 연구에선 10억 분의 1m 단위의 '나노 플라스틱'까지 확인했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관측하는 데는 '라만 산란 현미경'이 사용됐다. 이 현미경은 물질에 조사한 빛이 특정한 ... ...
[과기원NOW] KAIST-MIT, 양자 정보 겨울학교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블록과 연결돼 만들어진 고분자다. 자체 조립이 가능해 다양한 특성을 가진 나노
미터
(nm)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지만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열역학적 안정성이 떨어져 제작에 어려움이 많았다. 연구팀은 고분자 사슬에서 단 1%도 되지 않는 말단부에 주목했다. 사슬 말단부에 서로 다른 분자를 각각 ... ...
그래핀으로 반도체다운 반도체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된 물질이다. 사람이 인공적으로 만든 물질 중에 가장 얇은 두께를 가졌다. 수 나노
미터
단위의 공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도체 소자 소형화의 기존 한계를 돌파할 소재로 꼽힌다. 여기에 전자 이동 속도도 기존 반도체 소재인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빠르며 전기전도율은 구리의 100배에 달하는 ... ...
무게 대비 34배 강한 힘 내는 '인공근육'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결합해 만든 골격 구조체를 결합했다. 실험 결과 머리카락 정도로 얇은 180마이크로
미터
(μm) 두께로 제작된 인공근육은 10밀리그램(mg) 정도의 가벼운 무게 대비 34배 이상 큰 힘을 내고 부드럽게 움직였다. 5헤르츠(Hz) 속도로 반복적으로 구동할 때도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연구팀은 "부드러운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