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뉴스
"
밑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아가미 있는 곤충의 겨울나기
2019.02.20
돌을 이용해 집을 짓고 엉금엉금 기어 다니는 날도래 애벌레가 있고, 돌
밑
이나 나뭇잎
밑
에서 날도래애벌레나 하루살이애벌레 등 작은 곤충을 먹고 사는 강도래 애벌레가 있다. 잔뜩 웅크리고 먹이를 기다리는 잠자리 애벌레와 하루밖에 못 살 것 같은 이름을 갖고 있는 하루살이애벌레도 겨울 계곡 ... ...
스트레스도 가족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5
사람들이 많다. 취업이나 결혼 문제를 꼬치꼬치 캐는 가족들이 있거나 시어머니
밑
에서 제사를 준비하는 며느리들은 피하고 싶은 시간이다. 최근 스트레스도 '가족력'에 따라 정도가 달라진다는 연구결 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트레이시 랭킬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생물학과 교수 ... ...
주기율표 곳곳을 채운 화학의 '히든 피겨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레르몬토바는 55번 세슘(Cs)과 37번 루비듐(Rb)을 발견한 독일의 화학자 로베르트 분젠
밑
에서 수학해 1874년 독일 최초로 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맥길대 물리학과 대학원생이었던 해리엇 브룩스는 영국의 물리학자 어니스트 러더퍼드와 함께 라듐이 붕괴하면서 나오는 방사성 물질을 ... ...
[이강운의 곤충記]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곤충은 하등한 생물일까?
2019.01.23
등빨간먼지벌레 월동 중인 뿔우묵거저리 월동 중인 주홍머리대장 온 몸을 웅크리고 낙엽
밑
에서 월동하던 네발나비가 한 낮 영상의 기온으로 잠깐 따뜻해지자 양지 바른 곳에서 일광욕을 하며 체온을 올리고 있다. 각시멧노랑나비도 부쩍 올라간 온도를 주체 못하고 잠시 겨울잠에서 깨어난다. ... ...
남극 빙하 사라질 위기…韓·美·英 주도 국제 남극 프로젝트 시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취약하다. 육지 위 빙하의 아랫부분이 바닷물에 잠긴 채 녹으면서 바닷물이 빙하
밑
으로 점점 더 깊숙이 침투해 더 빠르게 얼음을 녹이는 것이다. - 자료: 국제스웨이츠빙하협력단 이처럼 남극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남극 연구를 확대할 대형 쇄빙연구선을 새롭게 도입하는 국가도 늘고 있다. ... ...
지구 자기장이 요동친다…“이대로라면 선박 항해 어려워질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있다”고 설명했다. 2015년 자기장 모델 업데이트 직후인 2016년 남미 북부와 동태평양
밑
에서 액체 상태의 철 성분이 요동을 쳤고 지구 자기장은 일시적으로 강한 펄스를 내뿜었다. 예기치 못한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북반구 자기극이 빠르게 이동하면서 문제가 더욱 악화됐다. 1990년대 ... ...
땅
밑
에서 우주 탄생 비밀 푼다…日 아시아 첫 중력파검출기 연말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중력파는 블랙홀, 중성자별이 병합되는 것처럼 질량이 있는 물체가 가속 운동을 할 때 발생하는 파동이다. 빛의 속도로 전파되면서 주변 시공간을 휘게 만든다. -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올해는 일식 관측으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검증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 ... ...
지질활동 분석 틀 새롭게 제시...1월 과학기술인상에 이용재 연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현상이다. 섭입대는 대륙판과 지각판이 충돌하면서, 해양판과 함께 들어온 물이 대륙판
밑
으로 빨려 들어가는 곳이며, 땅속 약 75km 깊이에 존재한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초수화 광물은 지구상의 어떤 광물보다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다. 이 교수는 도자기 원료로 쓰이는 카올리나이트(고령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우드러프를 불러 장학금을 줄 테니 대학원에 진학하라고 제안했고 우드러프는 왁스먼
밑
에서 무난히 박사학위를 받고 선망하던 거대 제약회사 머크에 입사해 열심히 일한 결과 오늘날 ‘산업미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고 있다. 우드러프는 2017년 100세에 타계했다. 반면 우드러프가 박사학위를 ... ...
인도네시아 쓰나미 "화산폭발 따른 대형 산사태가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8
‘항구의 파도’를 뜻하는 일본어에서 유래된 쓰나미는 해일의 일종으로 바다
밑
에서 일어나는 지진이나 화산 폭발 때문에 해수면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큰 파도를 뜻한다. 해일 중 에너지와 파괴력이 가장 커 엄청난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불러일으키며 해안 지역을 초토화시킨다 . 통상적으로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